국내 항공업계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임시편 편성과 할인 항공권 등의 대책을 내놓으며 수요 확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여름 성수기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만큼 추석 특수도 놓칠 세라 걱정이지만 예년과 같은 수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정부가 고향 방문 자제 등을 요청하고 나선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추석 연휴 기간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임시편 편성을 계획하고 있다.
작년 추석 연휴에는 김포∼제주 16편, 김포∼부산 4편 부산∼제주 4편 등 3개 노선에 총 24편의 임시편을 투입해 4천520석 규모를 추가 공급했다.
올해도 3개 노선에 4천여석을 추가 편성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김포∼광주 왕복 1편(348석), 김포∼제주 왕복 4편(1천392석) 등 총 5편(1천740석)을 추가 운행한다.
제주항공은 추석 연휴 기간 부산∼광주 노선에 총 4번 임시편을 운항한다. 2001년 해당 노선의 운항을 중단한 이후 20년 만이다.
진에어는 이달 29일∼다음 달 5일 국내선 전 노선에서 250여편을 증편할 예정이다. 최근 적극적으로 국내선 확대에 나서는 진에어는 현재 총 13개의 국내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LCC를 중심으로 항공권 특가 판매 등 프로모션도 진행된다. 제주항공은 지난 14∼16일 48시간 동안 1만원가량으로 국내선을 이용할 수 있는 이벤트를 열었다. 이달 말까지 출발하는 항공권을 대상으로 청주∼제주 1만500원, 대구∼제주 1만900원, 광주∼제주 1만900원 등의 가격에 판매하는 이벤트다.
티웨이항공도 가을 특가 이벤트를 준비했다. 편도 총액운임 기준으로 김포∼제주 항공권을 9천원부터, 부산∼제주, 대구∼제주, 광주∼제주, 청주∼제주 항공권을 9천900원부터 판매하는 이벤트다. 항공권 결제시 제휴카드를 이용하면 1만원 할인쿠폰도 준다.
다만 대부분 항공사의 국내선 예약률은 예년에 비해 낮은 50∼6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코로나 여파로 LCC가 국내선 노선을 늘릴 만큼 늘린 데다 경쟁도 심해 실적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려워 보인다.
LCC 관계자는 “아직 연휴 예약률이 60% 수준으로 저조한 상황”이라며 “예년 대비 국내선이 늘어난 면도 있어서 임시편을 추가 투입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코로나 확산이 관건이다. 정부는 추석 연휴 대규모 이동이 발생하면 감염 확산 우려가 크다고 판단해 가급적 고향과 친지 방문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연휴 기간인 9월 30일부터 10월 4일까지는 ‘특별방역기간’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아직 연휴 예약률이 높지 않다”며 “추석 연휴에 이동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 것도 있어서 이후에도 수요 확보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에는 추석 연휴에 20만 명가량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