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와 에어부산간의 조종사 빼가기에 대한 갈등이 점입가경이다 .
14 일 에어부산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작년 8 월과 올 4 월 두 차례에 걸쳐 에어부산 부기장 5 명을 채용했다 .
채용된 5 명은 2 년여의 경력을 보유하고 1000 시간의 비행시간을 충족한 자들로서 에어부산 설립 초기부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어렵게 양성해낸 자원들이다 .
에어부산은 대한항공에 이어 이번에는 진에어가 에어부산 부기장 2 명을 추가로 채용했다고 주장했다 . 역시 에어부산 1 기 입사자들이다 .
에어부산 관계자는 “ 지난 번 대한항공이 여론의 거센 지탄에 직면하자 이번에는 자회사 진에어를 앞세워 에어부산의 조종사를 빼간 것 ” 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
이에 대해 진에어는 조종사 빼가기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반문했다 .
진에어측은 " 소정의 자격을 갖춘 조종사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공개채용이라는 정당한 절차를 통해 선발한 것 " 이라며 " 대한항공이 진에어를 앞세워 조종사를 빼갔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닙니다 . 진에어의 조종사 채용 및 육성은 100% 진에어에서 주관하고 있다 " 고 밝혔다 .
이 항공 관계자는 " 오히려 최근 에어부산 출신 조종사가 제주항공으로도 3 명 이직한 바 있다 " 면서 " 이는 에어부산의 처우 , 근무환경 , 기업문화 등에 문제가 있다는 반증으로 , 에어부산은 조종사 전직을 남 탓으로만 돌리지 말고 자사의 인력관리 제반 여건을 먼저 점검해 봐야 한다 " 고 말했다 .
누구의 주장이 옳든 난립하는 항공사들 틈바구니 속에서 조종사들의 가치는 점점 높아만 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