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아산, 북에 금강산 관광 재개 제의

현대아산 임직원들이 북측에 “ 금강산 관광 재개를 전제로 생산적 협의를 계속하자 ” 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19 일 재산권 협의차 금강산을 방문해 북측에 “ 금강산 관광 재개를 전제로 생산적 협의를 계속하자 ” 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현대아산 관계자는 19 일 재산권 협의차 금강산을 방문해 북측과 재산권 문제를 고 밝혔다 . 이날은 북측이 ( 재산권 처분의 ) 실천적 조치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 법적 처분 기한 ’ 마지막 날이다 . 북측에서는 금강산국제관광특구지도국 김광윤 부장이 대표로 나왔다 .

이 관계자는 “ 우리는 현대아산 사업권을 강조하고 , 궁극적 목표인 금강산 관광 재개를 전제로 서로 생산적인 협의를 계속하자고 얘기했다 ” 고 말했다 .

북측은 자신들의 특구법에 따른 법적 조치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기존의 자신들 입장을 되풀이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 그는 “ 우리도 마찬가지고 북측도 새로운 제안을 내놓은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 ” 고 밝혔다 . 결국 양측이 다시 만나 각자 처지와 입장을 재확인한 이상 진전된 사항은 없었다는 뜻이다 . 현대아산 측은 “ 북측이 밝힌 법적 조치 기한이 끝난 만큼 오늘 , 내일쯤 북측이 어떻게 할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 ” 이라고 말했다 .

앞서 북측은 지난달 29 일 남측에 통지문을 보내 “3 주 내에 남측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입회할 것 ” 을 요구했다 . 이어 “ 입회 기업은 국제관광 참가 또는 임대 , 양도 , 매각 등 재산문제를 협의할 수 있으며 , 미입회 기업은 재산권 포기로 인정하겠다 ” 고 통보했다 .

통일부 당국자는 “ 북측이 일방적 조치를 취하면 정부도 법적 , 외교적으로 문제제기할 게 있다 ” 며 대응에 나설 것임을 내비쳤다 .

그러나 많은 남북 관계 전문가들은 남북 양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 외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 북측은 남측 자산을 처분한다고 하지만 매각 · 임대 대상을 찾기 어렵고 남측도 북측을 제재할 수단이 별로 없어 모호한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