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주범은 에리카 김, 이명박 대통령도 주가조작 관여

218

한국계 메리 리 변호사가 15일 프레스세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BBK사건의 진상을 밝히며 주범은 에리카 김이라고 주장했다.
5년전 BBK사건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김경준 씨의 구속으로 일단락 된 BBK사건이 오늘(15일) 한국계 메리 리 변호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BBK 사건의 주범은 에리카 김이며 이명박 대통령이 대주주이던 회사가 유상증자로 받은 수십억원의 행방을 검찰이 수사하지 않고 덮었다면서 ‘덮어주기 수사’의혹을 제기했다. BBK사건이 급부상하면서 대선을 60여일 앞둔 지금 또 한번 정가에 돌풍이 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8 년간 BBK 사건의 법적 피해자인 옵셔널벤처스코리아의 미국 내 민사소송 대리인을 맡아온 한국계 메리 리 변호사는 "BBK 사건의 종범이거나 무관한 사람처럼 알려진 에리카 김이 실제로는 사건의 주범 " 이라고 주장했다 .

그는 기자회견에 앞서 소송을 통해 밝혀진 BBK 사건의 진상을 담았다는 저서 ‘ 이명박과 에리카 김을 말한다 ’ 를 출간했다 .

리 변호사는 자신의 저서에서 에리카 김이 주도적으로 40 여개 유령회사를 설립했으며 다스와 합의해 옵셔널벤처스가 회수해야 할 횡령금 140 억원을 다스로 불법 송금했다고 주장했다 .

리 변호사는 " 감옥에 있는 김경준씨가 무슨 수로 140 억원이나 되는 큰돈을 스위스 비밀계좌에서 빼내 다스로 보낼 수 있었겠느냐 " 라며 " 에리카 김이 모든 일을 한 것 " 이라고 말했다 .

그는 2002~2003 년 최초 검찰 수사에서 에리카 김을 빼놓은 채 밑그림을 그린 탓에 검찰 역시 핵심을 파고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

그는 똔 "2002~2003 년 체포영장 청구 대상에 에리카 김이 빠졌고 Lke 뱅크로 자금이 지출되고 거기서 옵셔널 주식을 판매한 사실이 있었는데 Lke 대신 오리엔스라는 회사(페이퍼) 이름으로 자금이 지출된 것으로 그림이 그려졌다 " 며 " 그래서 이 대통령과 에리카 김이 수사대상에서 빠진 것 " 이라고 말했다 .

리 변호사는 이어 " 이 대통령도 주가조작에 개입됐을 개연성이 충분하지만 검찰이 이 부분을 전혀 수사하지 않았다 " 고 강조했다 .

그는 " 이 대통령이 대주주로 있던 Lke 뱅크는 2001 년 6 월 옵셔널벤처스의 제 3 자 배정 유상증자로 45 억 5 천만원어치 주식을 무상으로 받았고 이 돈의 수혜자가 이 대통령이 될 수도 있는데 검찰은 이 수익금이 어디로 갔는지 전혀 조사하지 않았다 " 며 ‘ 덮어주기 수사 ‘ 의혹을 제기했다 .

그는 이와 관련 , 2007 년 Lke 에 대한 수사요청서를 검찰과 청와대에 민원서류로 제출했는데 서울중앙지검도 , 청와대도 요청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

현재까지 옵셔널벤처스는 김경준씨가 회사를 주가조작에 이용하고 자금을 빼돌렸다며 김씨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해 371 억원의 배상판결을 받아냈으나 집행을 통해 배상금을 받아내지 못한 상황이다 .

BBK 사건은 재미교포 김경준씨가 국내 기업과 투자자들로부터 거액의 투자자금을 끌어들여 금융사를 인수하는 등 사업을 확장하면서 주가를 조작해 수백억원대 불법수익을 챙긴 사건이다 .

김씨와 이 대통령이 공동 설립한 Lke 뱅크를 매개로 이 대통령이 ‘BBK 의 실제 주인 ‘ 이라는 의혹이 확산돼 검찰과 특검이 차례로 수사에 나섰으나 , 2007 년 12 월 검찰 수사결과와 이듬해 2 월 특검 수사결과에서는 이 대통령이 BBK 사건과 무관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

김경준 씨가 쓴 자서전 [BBK의 배신]표지

한편, BBK 사건에 연루돼 징역 8 년에 100 억원의 벌금이 확정돼 현재 충남 천안교도소에 수감 중인 김경준씨(46세)는 지난 9 일 출간 예정인 <BBK 의 배신 > 이란 자서전에서 “BBK 뿐만 아니라 다스의 실소유주도 이 대통령 ” 이라고 주장했다 .
자선에서 그는 "이 대통령이 현대그룹에서 일하던 1987 년 경북 경주에 설립된 다스는 주로 현대자동차에 자동차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다 . 그는 이 주장의 근거로 “ 다스가 BBK 에 190 억원을 투자했지만 ( 이 대통령의 큰형 ) 이상은 회장이나 ( 처남 ) 김재정 감사를 한번도 만난 적이 없다 ” 고 밝혔다 .

8 일 < 경향신문 > 에 따르면 , 김씨는 자서전에서 자신이 “BBK 의 실소유주는 이 대통령 ” 이라고 주장하자 2007 년 대선을 앞두고 “ 이 대통령의 측근으로 현 정권에서 차관급 직위를 지낸 사람이 나의 가족을 찾아와 내가 국내로 가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거래를 시도했다 ” 고 밝혔다 . 그는 “ 거래 성립을 위해 일본에서 ( 이 대통령의 친형인 ) 이상득 전 의원을 만나는 것까지 논의됐다 ” 고 말했다 .
현재 다스의 최대주주는 이 대통령의 큰형인 이 회장이다 . 다스의 지분을 가장 많이 가졌던 사람은 김 감사이지만 2010 년 그가 사망한 뒤 지분 일부가 이 대통령 부부가 설립한 청계재단으로 넘어갔다 . 당시 재산을 상속받은 김 감사의 부인 권영미씨가 시가 100 억원에 달하는 지분 5% 를 청계재단에 출연하자 그의 가족이 이 대통령의 재산을 차명관리해온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

최근에는 이 대통령의 외아들 시형씨 (34) 가 ‘ 내곡동 사저 부지 ’ 매입 과정에서 이 회장으로부터 6 억원을 빌린 사실이 드러났다 . 그러나 검찰과 특검은 2007~2008 년 수사를 통해 도곡동 땅 매각이나 다스 운영에 이 대통령이 개입한 사실이 없다고 결론냈다 .

김씨는 “ 아직 이명박 대통령이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 이야기 못한 부분들이 너무 많다 ” 며 , 자서전 집필 동기에 대해 “ 나는 BBK 사건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었다 . 단 한 번이라도 진실을 내 스스로 알리고 싶었다 ” 고 밝혔다고 < 경향 > 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