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89% “탈모 남성 꺼린다”…“생활습관만 고쳐도”

272


[미디어원=권호준 기자] 젊은 남성들의 탈모가 결혼과 연애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모발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실제로 한 취업 포털 사이트에서 200 여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탈모 남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 중 89% 가 “ 소개팅 혹은 맞선 자리에서 탈모 남성을 꺼린다 ” 고 대답했다 . 탈모가 결혼 및 연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다 .
이에 대해 피부과 전문의 류효섭 원장은 “ 최근 이러한 고민으로 병원을 내원하시는 20~30 대 청년 환자가 늘고 있다 . 초기 증상일 경우 탈모를 부추기는 생활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으나 , 빠르게 치료 받을수록 진행 속도가 느려지고 , 탈모 자체가 장기적인 치료로 봐야 하는 만큼 치료 시기가 앞당겨질수록 좋다 ” 고 조언한다 .
탈모를 겪고 있는 청년들이 조금만 더 자신감을 갖는다면 충분히 해소될 수 있는 고민이겠지만 , 좀 더 빠른 탈모 치료 및 대처로 자신감을 회복해가는 과정을 밟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겠다 .
그 중에서도 청년 탈모인들에게 문의를 많이 받는 치료법는 ‘ 모발이식 ’ 이다 . 그러나 20~30 대에 탈모를 겪고 있는 청년들은 아직 사회초년생이기 때문에 긴 휴가도 낼 수 없을 뿐더러 오랫동안 시술한 표가 날까봐 , 상담 받기도 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게 문제다 . 또한 모발이식은 모발의 생착률이 성패를 가리므로 사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알려져 겁이 난다는 게 주된 반응 .
이에 털드림 모발이식센터 피부과 전문의 류효섭 원장에게 모발이식 시술 이후와 사후관리에 대해 직접 들어봤다 .
Q. 모발이식 시술 직후 통증은 어느 정도인가 ?
과거에는 후두부와 이식 부위에 국소 마취만으로 시술하면서 마취 주사를 맞을 때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후두부의 모발 채취 시에 불편함을 호소하시는 분이 많았다 . 그러나 통증에 민감한 분의 경우 최근에는 마취기술의 발달로 내시경을 하실 때와 비슷한 약간의 반 수면 마취를 후두부의 모낭채취 때 할 수 있으며 , 이런 경우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
이식 부위의 마취도 아주 미세한 바늘을 사용하여 통증이 거의 없이 수술 받으실 수 있다 . 시술을 마치면 전체적으로 일시적으로 감각신경이 마비된 상태이므로 헬멧을 쓴 것처럼 머리가 전체적으로 묵직하게 느껴지며 수술을 마치고 1~2 시간이 지나면 국소마취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후두부의 통증이 시작된다 . 후두부 통증은 2-3 일 동안 다소간 있으나 수술 후 통증관리기법을 통해 예전의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는 아니어서 빠른 경우는 시술 다음날 부터 일반적으로는 2-3 일의 휴식만 취하면 직무에 복귀할 수 있다 .
Q. 실밥은 언제쯤 제거하게 되나 ?
병원마다 봉합법은 다르나 원내에서는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봉합법과 약간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 현재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피하조직을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봉합하고 봉합사 ( 실밥 ) 와 의료용 특수 스태플러를 같이 사용하면 출혈을 방지하고 절개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상처의 재생을 돕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최소흉터봉합법을 시행하고 있다 . 실밥은 시술 3~4 일째에 제거하고 의료용 특수 스태플러는 상처의 재생 정도에 따라서 7~10 일에 걸쳐서 차차 제거해준다 .
Q. 모발이식 시술 후 삼가 및 주의해야 할 음식은 무엇인가 ?
모발이식은 하나하나의 섬세한 모낭기관을 이식하는 장기이식의 하나이므로 수술 후 이식부위의 혈액순환을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따라서 실밥을 제거하는 시술 후 7 일 정도는 금연 , 금주가 필수적이다 . 흡연은 피부의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음주는 면역력을 떨어트려서 세균감염을 조장한다 .
그외의 음식은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드시고 싶은 음식을 드셔도 된다 . 음식은 아니지만 오메가 3, 비타민 B 를 포함한 복합비타민제제는 출혈의 우려가 있으므로 수술 전에 복용을 중지해야 하며 실밥을 제거하신 후 복용을 재개하시는 것을 추천한다 .
Q. 모발이식 직후 병원에서 해주는 관리는 무엇이며 , 변화 과정 및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이야기해 달라 .
▲ 모발이식 후 1~2 일째까지
모발이식 직후부터 24 시간 동안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층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시기다 . 표피층의 재생이 완료되면 2-3 일 이후부터는 이식모는 잘 뽑히지 않고 피부 속으로 함몰되지 않게 되어 안정화가 시작되게 된다 . 시술 후 1~2 일 째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샴푸와 이식부 , 채취부 소독과 더불어 재생과 생착을 돕는 재생치료를 받아야 한다 .
▲ 모발이식 시술 3 일 이후
시술 3 일 이후에는 집에서 샴푸를 할 수 있으며 샤워기의 수압은 평소의 ⅓ 정도의 세기로 약하게 하고 부드럽게 모발과 두피를 마사지 한 후 흐르는 물로 씻어내면 된다 . 이후에는 병원에서 지정한 날짜에 오셔서 실밥을 제거하면서 재생치료를 받으면 된다 .
얼굴의 붓기는 수술 3~4 일에 발생하여 3 일 정도 지속될 수 있지만 병원에서 공지한 수칙 ( 수술 후 엎드려 주무시거나 옆으로 누워있는 것은 피하는 것 등등 ) 을 잘 지켜주면 요즘은 붓지 않는 분이 훨씬 많고 간혹 얼굴이 붓더라도 그 정도가 예전보다 훨씬 미미한 정도다 .
▲ 모발이식 시술 한 달 전후
이식된 모발들은 이식 직후에 바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식 중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대부분 1 달 전후에 일시적으로 탈락되고 3 개월 정도의 휴식기간을 가진 후 4 개월 이후부터 조금씩 성장을 시작한다 . 모발들이 자라 나오기 전에 먼저 재생된 피지선에서 모낭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간혹 있을 수 있으므로 이식 부위의 염증이 있으면 반드시 피부과나 시술받은 병원에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 모발이식 4 개월 후
4 개월 이후 모발들이 자라기 시작하여 5cm 이상 성장하려면 추가로 5~6 개월이 필요하므로 이식의 최종 결과는 수술 시점부터 1 년 정도 지난 후에 판단하는 것이 좋다 . 따라서 성급하게 수술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보다는 일년 이후 경과를 충분히 관찰 후 2 차시술에 대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