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모 부양해야 한다’, 60.7%에서 28.7%로 뚝↓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노부모 부양을 자녀가 책임져야 한다 ’ 고 생각하는 서울 시민은 지난 6 년간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 노후에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 ’ 는 부모 역시 지난 8 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는 만 15 세 이상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노부모 부양을 자녀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견해는 2006 년 60.7% 에서 2012 년 28.7% 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 반면 가족과 정부 · 사회가 함께 부양해야 한다는 의견은 같은 기간 29.1% 에서 54.0% 로 대폭 증가했다 .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7.7% 에서 13.6% 로 증가 추세였다 . 만 60 세 이상 부모 역시 향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견해가 2005 년 50.7% 에서 2013 년 71.4% 로 증가했다 .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49.3% 에서 28.6% 로 줄었다 .

가족법 전문 엄경천 변호사 ( 법무법인 가족 ) 는 “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감소한 반면 정부 · 사회가 함께 돌보거나 부모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증가한 것은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부모 부양에 대한 가치관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고 설명했다 .

고령화 시대 부모 부양을 둘러싸고 가족 간 갈등을 겪다가 불화가 빚어지자 , 노모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안타까운 일이나 노부모 부양문제로 다투다가 격분한 형제간의 살인이 심심치 않게 일어난다 .

노부모 부양문제는 적지 않은 가정에서 겪고 있다 . 우리나라 정서상 자식이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를 부양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노부모 부양은 현실적으로 생각보다 쉽지 않다 . 노부모 부양 부담과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의 갈등 , 부양 스트레스 ,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가족 해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

시부모의 부양책임이 며느리에게 있는 경우 결혼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왔다는 논문 결과가 있듯이 남편은 아내를 앞세워 효도하다가 이혼소송을 당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

남편 스스로는 노부모를 모시며 책임을 다해왔다고 생각하지만 , 자신의 부모를 부양하는 남편은 오랫동안 공유해온 가족문화 덕에 갈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낮은 반면 , 아내는 남편의 부모를 부양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기 때문이다 .

엄경천 변호사는 “ 아내를 앞세워 효도를 하면 남편은 아내의 노고를 인정하고 고마움을 표현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처가에 대한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한다 ” 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