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박상일 기자] 그 동안 관행화되어 왔던 수도권 직행좌석행 시내버스 ( 이하 ‘ 직행좌석버스 ) 의 입석운행을 해소하기 위해 7 월 16 일 수요일부터 수도권 62 개 노선에 총 222 대의 버스를 투입한다 .
국토교통부와 서울 · 인천 · 경기 등 수도권 3 개 지자체는 직행좌석버스의 입석운행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버스 증차 등 대책을 발표 (6.10) 한 바 있으며 , 이에 따라 국토부는 서울 ( 합정 )- 인천 간 광역급행버스 (M-Bus) 노선 사업자 선정을 선정하여 운행 개시 준비 중이다 . 또한 , 각 지자체별로 차량확보 , 교통카드 단말기 설치 등을 통해 내달 16 일부터 버스 증차 운행을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내달 1 일부터 각 지자체와 버스운송사업자는 증차 대수 , 배차 간격 , 노선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 노선 등을 차량 내부 , 버스정류소 , BIS 시스템과 해당 지자체 · 운송사업자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이용객 불편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
아울러 국토부와 수도권 지자체는 버스 증차 이후에도 약 1 개월 동안 수도권 지자체 등과 함께 증차 대책이 제대로 구현되는 지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 기간 동안 국토부 · 지자체 담당공무원 및 유관기관 담당자가 버스에 직접 탑승하여 입석해소 여부 , 노선별 증차대수의 충분성과 지속가능성 , 이용객 불편사항 등 운영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필요시 노선 · 증차대수 조정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이와 같은 모니터링을 거쳐 금번 입석해소대책이 실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찰과 협조하여 빠르면 8 월 중순 이후 부터는 직행좌석버스가 입석으로 고속도로를 운행할 경우 단속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