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도 마시고 오늘도 마셨으니 내일 또한 마셔야 되는 것이 주당들의 일상이다 . 술 마시는 것이 지겹고 힘들다는 푸념도 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이렇게 마실 수 있는 건강과 여건이 있음에 감사해야 한다 . 돈이 있어도 마실 수 있는 건강이 허락하지 않은 사람 , 누구 하나 만나자는 연락도 없어 쓸쓸하게 세월을 보내는 사람에 비하면 행복한 것 아닌가 .
망년회니 동창회니 하는 모임이 술자리 대신 점차 연극이나 영화를 보는 문화로 바뀌고 있다지만 아직도 많은 직장인들은 고전적인 회식문화를 즐겨하고 있다 . 이는 우리민족은 오래전부터 관 · 혼 · 상례에서 술을 빼놓고는 치를 수 없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 오죽하면 제사를 지낼 때 술을 구하지 못해 술 대신 우물물을 떠다 놓고 지내면서도 물이라 하지 않고 ‘ 현주 ( 玄酒 )’ 라 하지 않았던가 .
그러다 보니 큰일을 치를 때 술은 필수조건이 되었다 .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송년회를 갖는 다는 것은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으로서는 중요한 일과 중 하나다 .
연말이 되면 작취미성 ( 昨醉未醒 ) 인 상태로 출근을 하고 , 어찌어찌하여 겨우 몸을 추스르게 되면 또 술자리에 나가 폭탄주까지 마셔야 되는 것이 직장인들의 연말 풍경이다 . 직장을 잡지 못했거나 이미 직장을 떠난 사람들에게는 이 또한 부러움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
회식자리에서 소주잔이 몇 순배 돌고 나면 으레 벌어지는 일이 폭탄주를 제조해서 돌리는 일이다 . 이제 폭탄주는 우리의 새로운 음주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 같다 . 중 · 장년층은 물론 젊은 층에서도 폭탄주가 성행하고 있다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지난 6 월과 10 월 만 15 세 이상 남녀 2066 명을 대상으로 ‘ 주류 소비 · 섭취 실태조사 ’ 를 벌인 결과 , 최근 1 년 사이 폭탄주를 1 잔 이상 마신 경험은 20 대에서 49.2% 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
일반적으로 폭탄주를 마시면 알코올이 체내에 빨리 흡수되어 좋지 않다고 하지만 주당사회 ( 酒黨社會 ) 에서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가 아닌가 . 이는 우리의 비빔문화와 무관치 않을 듯싶다 .
비빔밥은 융합식품으로 장수식품이란 인식이 널리 퍼져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가 국제선에서 제공하는 기내식에서 인기 있는 식사다 . 이어령 이대 석좌교수도 그의 저서 < 디지로그 > 에서 “ 비빔밥 문화야말로 우리 문화의 진수이며 , 맛의 교양곡 ” 이라 예찬한 바 있다 .
비빔밥의 역사는 200 여년 남짓이라고 하지만 웰빙식으로 각광 받고 있는 것은 다양한 식재료가 어우러져 오묘한 맛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
주당들이 즐겨 마시는 폭탄주 역시 비빔밥처럼 여러 가지 술을 섞어 마시는 것이어서 본래의 술 맛 보다 다른 맛을 느끼기 위함일 것이다 .
그런데 묘한 것은 폭탄주와 비슷하게 제조되어 판매되는 술은 인기가 없다는 것 . 몇 해 전 백세주에 소주를 타서 제조한 50 세주 폭탄주가 유행하자 술 제조회사가 50 세주를 출하했지만 인기를 끌지 못했었다 .
맥주잔에 소주나 양주 같은 핵을 먼저 붓고 맥주를 적당량 넣어 마시는 폭탄주가 주당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술자리에서 직접 제조 (?) 하는 데서부터 묘한 심리가 발동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폭탄주 제조는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고 , 연령층 마다 다소 차이가 있는 것 같다 . 이를 테면 한국관광공사 이 참 사장의 ‘ 삼관주 ( 막걸리 , 맥주 , 소주를 각 6 대 3 대 1 비율로 섞은 폭탄주 위에 고춧가루를 뿌린다 )’ 같은 것이다 .
이 사장이 ‘ 삼관주 ’ 를 제조 할 때는 그야말로 진지하다 . 폭탄주 위에 고춧가루를 뿌리는 이유에 대해 이 사장은 “ 술을 마시면 비타민이 파괴되는데 고춧가루는 파괴된 비타민을 보충하고 , 빨간색은 악귀를 물리치는 효험 (?) 이 있기 때문 ” 이라는 말을 듣다보면 저절로 손이 간다 .
폭탄주도 어느 면에서는 통합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가 . 이번 대선에서도 민심이 갈라진 영 · 호남 사람들이 만나서 폭탄주라도 한 잔 마시며 통합을 외치면 어떨까.
글 : 김원하 삶과 술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