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마케팅의 현주소- 현란한 여행사 마케팅, 실속까지 챙기셨나요

161

패러디와 유행의 재생산은 마케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수다 . 과거 , 유명한 영화의 제목을 패러디한 에로영화 제목을 보고 낚인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 재치에 한번 , 호기심에 한번 관심을 갖게 되는 사람의 심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 여행업계서도 여러 가지 패러디와 유행의 재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 정보의 홍수시대 , 여행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한 여행업계의 마케팅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짚어봤다 . < 편집자주 >

– 패러디 유행어로 여행자 관심끌기 성황
– 활용도 높지만 제작은 주먹구구식으로
– 비슷한 형식에 여행사별 차별성 떨어져

여행자 눈길 잡는 ‘ 패러디 ’ 마케팅

여행지를 한 지역에만 한정하더라도 여행업계에서는 수많은 상품이 쏟아진다 . 다른 여행사와 상품이 겹치는 것도 예삿일이다 .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이 불꽃 튀게 벌어지는 이유다 . 특히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직판여행사들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다 .

가장 흔한 방법은 가격적인 혜택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 ‘ 특가 ’, ‘ 세일 ’, ‘ 땡처리 ’ 등의 표현을 전면에 내세워 기존 상품가보다 저렴하게 여행을 갈 수 있다는 것을 어필한다 . 패러디 또한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 누구나 잘 알 법한 트렌드를 여행과 접목시켜 제목을 달아 눈길을 끄는 것이다 .

최근 진행된 여행박사의 ‘ 명량 ’ 패러디가 대표적이다 . ‘ 특가대첩 – 신에게는 아직 12 개의 특가좌석이 남았습니다 . 특가좌석이란 신속하면 예약될 것이고 , 늦으면 없을 것입니다 ’ 라는 문구와 함께 담당자 조태익 사원의 얼굴이 이순신 장군 얼굴로 합성돼 같이 등장했다 . 단순히 유행어를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직접 패러디의 일환이 된 것이다 . 조 사원은 “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기 전에 선행되는 것이 눈에 띄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며 “ 그렇기 때문에 트렌드와 함께 재미요소를 가미하면 금상첨화라 생각했고 , 비록 패러디지만 상품판매자의 얼굴 노출을 통해 고객에게 신뢰를 높이고자 했다 ” 고 취지를 전했다 .

이밖에 ‘ 일본여행 추석에 안가면 아이고 ~ 의미없다 ~( 노랑풍선 )’. ‘ 연휴에 떠나으리 ( 롯데관광 )’, ‘ 이건 여름 특급 여행이야 ( 노랑풍선 )’ 등도 유행어를 적극 활용한 경우다 . 사진과 글자체 , 캐릭터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기획전의 분위기를 살리는 것은 덤이다 . 익숙함과 함께 여행과 접목된 표현에서 재미를 느끼게 함으로써 여행자의 관심을 끌어내는 방법이다 . 노랑풍선의 홍보팀 관계자는 “ 여행자를 만나는 통로가 웹 ” 이라며 “ 눈에 띄어야 클릭도 잘 된다고 생각한다 ” 고 전했다 . “ 잘 만들어진 기획전은 SNS 마케팅 등에 2 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편 ” 이라고 덧붙였다 .

자체적으로 소비자에게 발송하는 뉴스레터에도 이런 특징이 드러난다 . 쉴새 없이 쌓이는 것이 메일이다 보니 , 스팸으로 여겨지거나 클릭을 받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 노랑풍선 홍보팀 관계자는 “ 광고성 메일이기 때문에 오픈이 안되면 소용이 없다 ” 며 “ 최대한 눈에 띄어서 한번이라도 열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 ” 이라고 전했다 . ‘6 월 황금연휴 준비 딱 ! 끝 ’, ‘ 봄여행 , 이거 그린라이트인가요 ?’ 등은 노랑풍선에서 발송한 메일 제목이다 . 반응도 좋다 . 카톡 등에서도 ‘ 기발하다 ’, ‘ 누가 이런 제목을 지었느냐 ’ 등의 소비자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오고 있다 .

재탕 , 삼탕에 빠진 유행어

이런 마케팅 방법은 여러 업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 입증된 ’ 방법임에는 틀림없다 . 그러나 소비자에게 노출되고 클릭을 유도하는 정도가 영업과 직접 연결되는 여행업계에서 아직 체계화된 시스템이 없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해당 상품 부서마다 자체적으로 기획부터 전 과정을 진행하고 있어 회사 차원의 통일감을 유지하거나 ‘ 선택과 집중 ’ 에 한계를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 전문가나 전담 부서 없이 담당자의 입맛대로 만들어지다 보니 중복은 물론 뻔한 옷을 입은 경우도 흔하다 .

한 사이트에서만 ‘ 으리 ’ 가 두 세번씩 사용되고 , 여러 기획전에서 한결같이 ‘ 특가세일 ’ 중이다 . 그렇다보니 주목도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 각종 유행어를 활용한 마케팅은 여행사뿐만 아니라 포털 사이트 , 쇼핑몰 등 여러 사이트에서 이미 노출되고 있어서 유행어 베끼기의 수준에서 벗어나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 . 결과적으로 광고 속의 재치있는 그림이나 문구는 기억을 해도 결국 전달하고자 하는 상품은 기억하지 못하는 허탈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

지나친 포장이 오히려 신뢰를 떨어드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 마감 직전의 마지막 상품이라는 문구를 보고 구매를 했는데 결제 후 며칠이 지나도 같은 상품이 계속 판매가 되고 있거나 특가인줄 알았던 상품이 일반 상품과 가격이 똑같은 경우도 많다 . 과장된 표현과 욕심이 오히려 독을 부른 경우다 .

여행사별로 진행되는 기획전을 한데 모아 본다면 어느 여행사의 것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이미지가 비슷한 것도 문제다 . 일부 브랜드 포지셔닝이 잘 된 업체들을 제외하고 작은 여행사일수록 더욱 그렇다 . 비슷비슷한 홈페이지 구성과 기획전 배너 등을 보다 보면 어느 여행사 사이트에 들어와 있는지 잊어버리기도 일쑤다 .

포장의 기술 전문성 갖출 때

이런 문제 때문인지 여행사에서도 브랜딩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 대대적인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감성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하고 자체 캐릭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 여행사를 대표하는 컬러를 주로 사용해 통일성을 갖춰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경우도 있다 . 여기에 유행어를 얹어 재치있는 기획전을 벌인다면 화룡점정이 될 수 있다 .

본인의 색을 찾거나 색을 입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는 많다 . 몇해 전 , CJ 제일제당의 설탕 브랜드였던 ‘ 백설 ’ 이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했다 . 설탕에 한정되어 있던 범위를 올리고당 , 밀가루 , 식용유 , 양념장 등으로 확대했다 . 로고를 변경하고 각종 매체를 통해 ‘ 맛은 쌓인다 ’ 는 정통성을 강조하는 홍보활동을 벌였다 . 설탕 브랜드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역사와 노하우를 가진 업체로 변화시키기 위해 대대적인 마케팅 비용이 투입됐다 . 롯데주류의 ‘ 청하 ’ 는 라벨을 변경한 뒤로 판매량이 전년 대비 8.5% 가량 증가했다는 수치도 나와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