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에 깃든 단풍과 산상에 물결치는 은빛 억새, 울산 석남사와 간월재

199

석남사의 가을

울산 울주군 상북면 석남로 ( 석남사 ), 울산 울주군 상북면 간월산길 ( 간월재 )

온 산하가 울긋불긋 꽃대궐을 이루는 계절이다 . 북쪽에서부터 차례로 내려오기 시작한 단풍의 향연은 10 월 말경이면 영남 알프스라 불리는 울산 산악의 주봉인 가지산까지 이어진다 . 산을 휘감아 흐르는 붉은 물결은 가지산 입구에 자리한 석남사에서 절정을 이룬다 .

석남사 대웅전

국내 최대의 비구니 수도처로 유명한 석남사는 신라 헌덕왕 때 창건된 사찰로 임진왜란과 한국전쟁 때 폐허가 되었다가 1957 년 비구니 인홍 ( 仁弘 ) 주지스님 부임 이후 중수중창을 거치며 지금과 같은 고즈넉한 모습을 갖게 되었다 . 맑은 계곡과 울창한 나무 숲 가운데 오롯이 자리한 사찰은 아담하면서 소박한 느낌이다 .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울려 퍼지는 청아한 목탁 소리가 세속의 때에 물든 마음을 정갈하게 만들어준다 . 대웅전 맞은편에 세워진 삼층 석가사리탑 주위로 천천히 탑돌이를 하는 이들도 눈에 띈다 . 윗자락부터 기세 좋게 내려온 단풍들마저 이 작은 산사에서는 평온함에 취한 듯 한참을 머무르다 간다 .

석남사 바로 아래까지 차를 타고 올라갈 수도 있지만 되도록 주차장에 세우고 걸어가기를 권한다 . 계곡을 따라 단풍으로 곱게 물든 길이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끼게 해준다 . 길 끄트머리에서 산사를 잇는 아치형 작은 돌다리도 무척 운치 있다 .

반구대

석남사에서 멀지 않은 반구대 암각화도 단풍 명소로 소문난 곳이다 . 계절의 끝자락 , 마지막 아름다움을 피워낸 단풍들이 암각화로 가는 길목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 수목이 무성한 오솔길을 따라 가볍게 트레킹하기 좋다 . 반구대 암각화는 약 7000~3500 년 전의 수렵과 어로 생활 등이 바위에 새겨진 국보 제 285 호 유적지로 부근에 있는 울산암각화박물관을 함께 다녀오면 여행이 훨씬 더 풍부해진다 .

간월재 억새

단풍이 화려한 가을을 맛보게 한다면 억새는 보다 잔잔하게 가을을 즐길 수 있는 편안함을 선사한다 . 간월산과 신불산 사이를 넘어가는 간월재는 억새 군락지로 이름난 울산 지역의 이색 가을 명소다 . 해발 900m 이상의 고지대에 펼쳐진 드넓은 억새 평원이 단풍과는 또 다른 가을의 멋을 느끼게 해준다 .

간월재 억새 평원 등산객

등억온천단지 부근 임도를 따라 약 2 시간 정도 오르면 간월재 억새 평원에 닿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오르막이 계속되는 길이어서 한 번에 바짝 오르기보다 천천히 쉬면서 가도록 한다 . 산 정상에 있는 휴게소 외에는 중간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물과 간단한 간식 정도를 챙겨 가면 좋다 .

간월재 억새 탐방로

다소 힘든 여정을 지나 간월재에 닿으면 누구나 눈앞에 펼쳐진 멋진 풍경에 감탄사를 절로 연발하게 된다 . 그간의 수고로움은 부는 바람결을 따라 그대로 흩어져 버린다 . 반짝이는 햇빛 아래 은빛으로 물결치는 억새들이 신이 뿌려놓은 은하수 별빛처럼 빛나고 , 활짝 핀 억새꽃은 솜털처럼 부드럽고 포근하다 . 흐드러지게 핀 억새밭 품 안에 안긴 사람들의 표정에는 평화로움이 넘쳐난다 . 억새 군락지 사이로 나무 데크 탐방로가 조성되어 있어 한결 편안하게 가을 산책을 즐길 수 있다 .

간월재에서 매년 열리는 억새 축제 프로그램인 산상 음악회 ‘ 울주 오디세이 ’ 는 억새 평원만큼이나 유명하다 . 억새와 함께 바람에 흩날리는 아름다운 음악의 선율이 가을의 정취를 더욱 진하고 깊게 만들어 준다 . 올해 음악회는 10 월 3 일 정오부터 3 시간 동안 개최된다 .

고래박물관 관람중인 어린이

단풍과 억새에 한껏 취하고 난 뒤에는 푸른 바다로 발걸음을 돌려보자 . 울산에 왔다면 한번쯤 가봐야 할 곳이 장생포고래박물관이다 . 장생포는 예전 고래잡이의 전지기지였던 곳으로 박물관에는 갖가지 고래 관련 유물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 어마어마한 크기의 범고래와 브라이드고래의 실제 골격은 바다생물에 대한 궁금증과 신비로움을 불러일으킨다 . 1986 년 포경 금지 이후 사라진 옛 고래잡이 풍경과 도구들도 둘러볼 수 있다 .

고래바다 여행선

박물관 앞 선착장에서는 고래바다여행선이 출항한다 . 여행선을 이용하면 바다에서 뛰노는 돌고래 떼를 직접 눈으로 보는 행운을 누릴 수 있다 . 여행선은 장생포를 출발해 울기등대 또는 간절곶 등 3 코스로 나뉘어 운항되며 사전에 인터넷 예약해야 한다 .

고래생태체험관

고래생태체험관 해저터널

고래박물관 바로 옆에 자리한 고래생태체험관도 함께 둘러보면 좋다 . 돌고래가 물속을 유영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펼쳐지는 해저터널과 돌고래수족관이 특히 인기다 .

신화마을 벽화

박물관에서 차로 5 분 거리에는 신화 ( 新和 ) 마을이 있다 . 1960 년대 석유화학단지가 건립될 당시 매암동 주민들이 집단 이주하면서 형성된 신화마을은 ‘2010 마을 미술 프로젝트 ’ 에 선정되면서 울산을 대표하는 벽화마을로 자리매김했다 . 영화 < 고래를 찾는 자전거 >, < 친구 2>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마을을 가로지르는 도로를 중심으로 갈래 골목마다 테마별 벽화가 그려져 있어 관람 동선도 편하다 . 가족 단위 관람객이라면 미술 해설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좋다 . 마을 중앙에 있는 신화예술인촌에 해설사가 상주하며 오전 10 시부터 오후 5 시까지 운영한다 . 비용은 무료이며 약 1 시간 정도 소요된다 .

바다를 건너 철교가 놓여있다

울산의 대표 명소인 대왕암공원도 빼놓으면 섭섭하다 . 울기등대를 비롯해 대왕암 , 용굴 , 탕건암 등 바다 위에 솟아난 크고 작은 기암괴석들이 볼거리를 이룬다 . 대왕암까지 육지와 연결된 교량을 이용해 건너갈 수 있으며 그곳에서 바라본 주변 풍경이 무척이나 이채롭다 . 대왕암 가는 길에 만나게 되는 수령 100 년이 넘는 1 만 5000 여 그루의 아름드리 해송들도 장관을 이룬다 .

< 당일 여행 코스 >
석남사 → 반구대 암각화 → 간월재 억새 평원

<1 박 2 일 여행 코스 >
첫째 날 / 석남사 → 반구대 암각화 → 간월재 억새 평원
둘째 날 / 장생포고래박물관 → 고래바다여행선 → 신화마을 → 대왕암공원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울산 관광가이드 http://guide.ulsan.go.kr
– 석남사 www.seoknamsa.or.kr
– 울산암각화박물관 http://bangudae.ulsan.go.kr
– 장생포고래박물관 www.whalemuseum.go.kr
–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 www.whalecity.kr/whale

○ 문의 전화

– 울산광역시청 관광과 052)229-3893
– 석남사 052)264-8900
– 울산암각화박물관 052)229-6678
– 장생포고래박물관 052)256-6301
–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 052)226-3406
– 대왕암공원 052)209-3733

○ 대중교통 정보

○ 대중교통 정보 [ 기차 ] 서울 – 울산 , KTX 하루 34 회 (05:10~23:00) 운행 , 약 2 시간 20 분 소요 .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www.letskorail.com
[ 버스 ] 서울 – 울산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하루 32 회 (06:00~24:35) 운행 , 약 4 시간 20 분 소요 .
* 문의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688-4700, www.exterminal.co.kr 코버스 www.kobus.co.kr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 → 동대구 JC → 대구부산고속도로 → 밀양교차로 → 밀양대로 → 24 번 국도 → 덕현교차로에서 석남사 방면 → 석남로 → 석남사

○ 숙박 정보

– 어련당 ( 한옥 체험 ) : 울산 중구 산전길 , 052)290-3692~4, http://www.junggu.ulsan.kr/culture/culture02_083.php
– 진하마리나리조트 : 울산 울주군 서생면 진하길 , 052)900-8888, http://www.jinharesort.co.kr
– 울산시티호텔 : 울산 남구 삼산로 , 052)240-2000, http://www.ulsancityhotel.co.kr
– 알프스산장 : 울산 울주군 상북면 작괘로 , 052)263-0341
– 아젤란리조트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덕현남천길 , 052)254-8040

○ 식당 정보

– 언양일번가 주먹떡갈비 : 떡갈비 , 울산 울주군 언양읍 언양로 , 052)263-2031
– 함양집 : 비빔밥 , 울산 남구 중앙로 208 번길 , 052)275-6947
– 기와집 : 냉면 , 울산 중구 중앙길 , 052)243-6290
– 장생포소라고래전문점 : 고래고기 , 울산 남구 장생포고래로 , 052)261-2661
– 감나무집 : 오리탕 , 울주군 청량면 청량천변로 , 052)265-5292
– 효정밥상 : 게장정식 , 울산 울주군 청량면 신덕하 1 길 , 052)227-4995

○ 축제와 행사 정보

– 제 48 회 처용문화제 : 2014 년 10 월 2~5 일 , 울산문화예술회관 · 문화공원 일원 , www.cheoyong.or.kr
– 2014 울산옹기축제 : 2014 년 10 월 24~26 일 , 울산 울주군 외고산옹기마을 , www.ulsanonggi.or.kr
– 2014 영남알프스 억새대축제 : 10 월 3 일 ~11 월 9 일 , 영남알프스 일원 , www.yeongnamalps.kr

○ 주변 볼거리

가지산 , 천전리 각석 , 반구대 암각화 , 파래소폭포 , 신불산 , 간절곶 , 울산대공원 , 외고산옹기마을

글 , 사진 : 정은주 ( 여행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