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해외관광출국, 외래관광객입국 모두 증가세 유지

-9 월 , 방한 7.7%, 출국 10.5% 상승
– 올해 아웃바운드 1,600 만 예상 돼

(미디어원=강정호 기자) 지난 9 월 방한 외래관광객과 국민 해외관광객이 모두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방한 외래객의 경우 9 월 중순부터 시작된 인천 아시안게임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비수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관광객들이 늘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

한국관광공사가 지난 10 월 20 일에 발표한 ‘9 월 주요국가 통계 ’ 에 따르면 방한 외래관광객은 전년대비 7.7% 가 늘어난 124 만 5,000 여명을 , 국민 해외관광객은 전년대비 10.5% 가 늘어난 132 만 1,000 여명을 기록했다 . 8 월 대비 각각 7%, 9.9% 성장했다 . 해외관광객이 전통적 해외여행 성수기인 8 월보다 늘어난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외래관광객과 국민해외관광객 모두 1 월부터 9 월까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방한 외래 관광객은 15.4% 가 늘어난 약 1,068 만명을 , 국민 해외관광객은 6% 가 늘어난 1,192 만 9,000 여명으로 집계됐다 .

세부 내용을 살펴 보면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가장 많은 중국과 , 그 뒤를 잇는 일본의 명암차가 뚜렷한 것을 알 수있다. 내한 중국관광객은 9 월 한달간 16.7% 가 성장해 56 만 4,000 여명을 기록했다 . 전체 방한 외래관광객 중 중국관광객의 비중은 절반(45%)에 가깝다. 1 월부터 9 월까지 전년대비 36.5% 증가하는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468 만 3,000 명 , 구성비로는 43% 를 기록했다 .

일본은 감소세가 확연하다 . 9 월 한달간 전년 동기대비 20.5% 가 줄어든 약 19 만 6,000 을, 1월부터 9 월까지는 15.7% 가 떨어진 174 만여명을 기록했다 . 일본인 입국이 줄어들면서 9 월 전체 외래객 중 일본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도 15.7% 까지 축소됐다 . 크게 줄어들고 있는 내한 일본관광객과는 반대로 일본을 찾는 한국관광객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엔저현상이 계속되면서 일본인 여행자들의 한국여행에 대한 부담이 커진 반면 한국여행자의 일본여행은 비용부담이 크게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대륙별로는 모두 성장했다 .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곳은 대양주로 , 전년 동기 대비 올해 9 월에 약 32.6% 가 늘었고 , 유럽이 14.4% 가 늘면서 뒤를 이었다. 미주 지역은 11.7%, 아시아는 6.8%, 아프리카는 2.3% 한국 방문객이 늘었다 . 1 월부터 9 월까지의 대륙별 성장률에서는 아시아가 가장 많은 17.4% 를 기록했다 . 유럽이 12%, 대양주가 7.4%, 미주가 5.7%, 아프리카가 3.7% 의 성장률을 나타내 9 월 한달간의 집계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

한편 , 올 년말까지 전체 출국자 수는 1,600 만명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 작년 10 월부터 12 월까지 출국자 수 359 만 7,000 여명에 현재의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년말까지의 3개월 동안 500만명이상 출국할 것으로 예상된다.국민 해외관광객 1,600 만명 시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