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강정호 기자) 2 학기를 맞아 다시 수학여행이 재개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부의 수학여행 시행방안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 수학여행의 안전을 책임질 안전요원이 채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8 년부터 작년까지 학생들의 교외 활동 관련 안전사고는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 작년 7 월 공주사대부고 해병대캠프 사고로 학생 5 명이 사망했고 , 올해 2 월 부산외대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로 134 명 부상 또는 사망했다 . 또한 세월호 침몰 사고로 단원고 학생과 일반인 포함하여 총 302 명 혹은 그 이상이 실종 또는 사망했다 .
4.16 세월호 참사 직후 정부는 수학여행을 비롯한 학생들의 학교를 벗어난 교육활동 및 단체활동을 중단시켰고 교육부는 지난 6 월 30 일 ‘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 시행방안 ’ 을 발표했다 .
매년 2 월과 8 월 2 회 범부처 합동 수학여행 안전점검을 실시하며 대규모 수학여행 대신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으로 유도 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 또한 150 명 이상 대규모 수학여행의 경우 안전사고 대처 능력을 갖춘 안전요원을 50 명당 1 명 동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안전요원 자격은 간호사 , 응급구조사 , 소방 · 경찰 경력자 , 청소년 지도사 , 교원 자격 소지자 , 14 시간 이상의 안전교육을 받은 관광 가이드로 국한된다 .
그러나 유자격 안전요원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 안이 실시되면서 수학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대다수 학교는 안전요원을 구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 . 안전요원을 확보할 수 없어 여행사에 부탁하고 있는 실정이다 .
대부분의 여행사는 안전 관련 자격증이 있는 인력을 추가 확보하기보다는 관광가이드나 여행사 직원을 안전요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
교육부에서는 안전요원을 구하기가 힘들다는 비판이 나오자 “ 관광 가이드도 14 시간의 안전교육을 필하면 안전요원이 될 수 있다 ” 고 여지를 줬다 . 하지만 안전사고에 대한 지식이 없는 관광가이드가 단 14 시간의 안전교육만으로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
14 시간 안전교육의 내용을 보면 대한적십자사에서 하루 7 시간씩 이틀간 진행하며 응급처치법 10 시간 , 수상 · 교통 안전교육 1 시간 , 재난 안전교육 1 시간 , 학교 · 학생의 이해 2 시간으로 단순한 내용이다 . 임기응변식 교육이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서울시교육청은 현직 교사가 서울시 산하 소방학교에서 응급처치법 등 안전교육을 12 시간 이수할 경우 안전지도사로 인정하고 있다. 관광가이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4 시간 안전교육을 수료한 교사들이 실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서울시교육청이 2 학기 수학여행 계획을 조사한 결과 ‘ 수학여행을 가지 않겠다 ’ 는 학교는 1,300 개 초 · 중 · 고등학교 중 870 여곳으로 나타났다 . 수학여행을 계획하는 360 여곳 중 150 명 이상 대규모로 수학여행을 떠나는 학교는 66 곳으로 나타났다 . 66 곳의 학교 대부분이 여행사에서 안전요원을 제공받고 일부는 교사들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여전히 안전에 무방비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
특히 수학여행 인솔자인 교사에게 안전요원 역할까지 이중으로 부담을 지우는 꼴이어서 관련 교사들은 볼멘 목소리를 내고 있다 .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은 “ 교육부에서 내놓은 수학여행 시행방안이 학교 현실을 잘 반영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없다 ” 며 “ 교육부가 학생 안전에 대한 책임을 학교에만 미뤄둔 채 교육부는 뒤로 빠지겠다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 고 지적했다 .
그는 이어 “ 교육부의 지침이 학생의 안전을 각 학교에 전가하고 사고 나면 알아서 책임지라는 식으로 탁상행정이었음이 드러났다 ” 며 “ 결국 안전사고 부담감 때문에 학교에서는 수학여행을 포기하고 있다 ” 고 비판했다 .
윤 의원은 “ 궁극적으로 수학여행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현행의 대규모 수학여행을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으로 전환해야 하며 , 수학여행 인솔 보조인력을 지원해야 한다 ” 며 “ 학생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교육부에서 기울인 노력은 잘 알고 있으나 학교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현실적인 대안과 보완점을 찾아야 한다 ” 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