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음악연구회-재비, 12월 2일 ‘동지섣달 꽃본듯이’ 공연 개최

최근 사회 각 분야에서 융합을 시도하는 추세와 맞물려 국악계에서도 콜라보레이션 공연이 활발한 가운데 ( 사 ) 우리 음악연구회와 재비가 오는 12 월 2 일 오후 2 시 서울 동대문구민회관 대강당에서 ‘ 동지섣달 꽃본듯이 ’ 라는 제목으로 합동 공연을 펼친다 .
2014 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 선정 작품인 이번 공연은 우리한테 익숙한 경기민요 , 감성이 잘 묻어난 반주에 얹은 판소리 보컬 , 그리고 화려한 퍼포먼스 등이 선보일 예정이다 . 두 예술단이 각자의 개성을 잘 표현하면서도 소리를 통해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전혀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 전통음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색깔이 묻어나기 때문에 잠시도 지루할 틈이 없다 .
( 사 ) 우리 음악연구회는 지난 1994 년 중요무형문화재 57 호 경기민요 보유자 후보 김혜란 선생이 창단해 민요 , 창작곡 , 서울 굿 , 소리극 , 국악동요 , 관현악과 함께하는 12 잡가 등 43 회에 걸쳐 기획공연을 개최해오며 전통음악에 뿌리를 둔 창작곡을 통해 전통예술의 맥과 줄기를 지켜가고 있다 .

김보연 ( 경기국악제 대통령상, 대사습놀이 민요부문 장원 ), 유은지 ( 경북 상주 전국 민요경창대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고윤선 ( 경기 안산 전국경기소리 경창대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유현지 ( 전국경서도 경창대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김아현 ( 전국학생 국악경연대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등이 이번 무대에 오른다 .
‘ 재비 ’ 는 10 인의 젊은 남성으로 구성된 어쿠스틱 앙상블이다 . ‘ 재비 ’ 란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전문예술인을 이르는 순우리말이다 . 이들은 현대음악에 장르 구분 없이 나타나는 Electronic Music 에 의한 분별없는 음악적 오염을 비판하고 반성하는 한편 우리 음악을 기반으로 하는 Acoustic Music, Live Music 을 추구함으로써 ‘ 재비 ’ 만의 음악을 선보이는 동시에 우리 음악이 나아가야 할 ‘ 젊은 국악 ’ 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구성원은 장태평 ( 작곡 . 타악 ), 홍민웅 ( 작곡 . 건반 ), 조선인 ( 가야금 ), 김범수 ( 대금 ), 오단해 ( 소리 ), 고준형 ( 아쟁 ), 심재근 ( 피리 . 대피리 ), 김현 ( 피리 ․ 태평소 ), 이정호 ( 타악 ), 김동건 ( 해금 ) 등이다 .
( 사 ) 한국 국악협회 박정곤 상임이사가 연출을 맡은 이번 공연에서는 금강산타령 , 아리랑연곡 , 만취 ( 홍민웅 작곡 ), 여유 ( 장태평 작곡 ), 창부타령 ( 고윤선 편곡 ) 등이 무대를 수놓는다 .
특히 마지막은 ‘ 재비모리 ’ 로 장식되는데 , 2011 년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대상 수상곡이다 . 판소리 < 흥보가 > 중 제비 몰러 나가는 대목을 모티프로 삼았다 . 경기 도당굿의 ‘ 올림채 ’ 와 ‘ 엇모리 ’ 등 우리 음악 고유의 10 박 장단을 활용해 판소리에 나오는 ‘ 시김새 ’ 와 ‘ 사설 ’ 등의 표현을 이면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또 젊은 감각이 느껴지는 퍼포먼스와 함께 힘 있는 보컬 , 그리고 대금 , 태평소 , 가야금 , 타악 등 각각의 색깔이 잘 드러나는 국악기 연주가 함께 어우러져 관객들한테 감동의 무대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해당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 기타 자세한 문의는 우리음악연구회 ( ☎ 010-9121-1212) 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