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총비용’ 2012년 ‘120조 6,532억원’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총비용’ 2012년 ‘ 120 조 6,532 억원’
– 4 년간 24.2% 증가 , 국내총생산 (GDP) 의 8.8%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정책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 수행한 ‘ 건강보장정책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주요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 의 연구결과를 지난해 말 내놓았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이번 연구는 2008~2012 년을 대상으로 각종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직접비 ( 의료비 , 교통비 , 간병비 ) 와 간접비 ( 조기사망에 따른 미래소득 손실액 , 의료이용에 따른 생산성 손실액 ) 로 구분하여 분석한 것으로 질병군별 , 성 · 연령대별 , 비용항목별로 세분화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연구자료는 건강보험 빅데이터 ,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 이상 국민건강보험공단 ), 사망원인통계 , 생명표 ( 이상 통계청 ),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 이상 고용노동부 ) 등을 이용하였다 .

우리나라 전체 질병을 20 대 대분류로 범주화하여 분석한 연구결과 , ‘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총비용’은 2008 년 97 조 1,792 억원에서 2012 년 120 조 6,532 억원으로 지난 4 년간 24.2% 증가하였다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총비용’ 120 조 6,532 억원 (‘12 년 기준 ) 은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대비 8.8% 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

‘12 년 기준 질병군별로는 손상 및 중독 (16.2%), 신생물 (12.7%), 순환기계질환 (11.6%),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질환 (10.6%), 소화기계질환 (9.3%), 호흡기계질환 (8%), 정신 및 행동장애 (6.9%) 순으로 비용이 높았다

손실이 큰 상위 7 개 질병군 ( 손상 및 중독 ~ 정신 및 행동장애 ) 으로 인한 비용이 총비용의 75.2% 를 차지하였다

손상 및 중독으로 인한 비용 가운데 자살에 의한 비용이 6 조 4,769 억원으로 손상 및 중독 비용의 33.2% 를 차지하였다 .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총비용’ 2012년 ‘ 120 조 6,532 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