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안광용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난해 ‘ 허리디스크 ’ 로 인해 가장 많이 입원했으며 , 기관지염으로 인한 외래 진료가 제일 많았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원장 솜영세 ) 은 2010 년부터 2014 년까지 건강보험 · 의료급여 심사자료를 토대로 국민들이 병원을 많이 방문한 질환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5 일 밝혔다 .
지난해 27 만 9000 명이 입원한 기타 추간판 장애 ( 허리 디스크 ) 환자는 전년대비 4 만 2 천명 (17.9%) 이 증가했으며 , 5 년 간 연평균 14.7% 증가해 2010 년 입원 다발생 순위 7 위에서 지난해 1 위로 올라섰다 . 이어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6 만 6000 명 ), 노년성 백내장 (25 만 1000 명 ), 위장염 및 결장염 (22 만 2000 명 ) 등의 순으로 입원 환자가 많았다 .
기타 추간판 장애는 남성은 30 대 , 여성은 50 대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급성 기관지염 외래 환자는 연간 1508 만 4000 명이 진료를 받아 전년도 보다 1.5%(23 만 6000 명 ), 5 년 전보다 22.8%(280 만 1000 명 ) 이 늘었다 .
이어 2013 년 스케일링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 영향으로 환자가 급증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뒤를 이었으며 , 급성 편도염 ,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 , 혈관 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순으로 진료인원이 많았다 .
급성 기관지염은 주로 3~4 월에 환자 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 이후 8 월까지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
2011 년과 2014 년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소아 · 청소년은 호흡기 질환 , 성인은 치과 질환자가 많이 증가했다 .
연령별로는 0~10 세 혈관운동성 ·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료인원이 27 만 1 천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 11~20 세에서는 ‘ 급성기관지염 ’ 의 진료인원이 16 만 1 천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소아 ․ 청소년 세대의 경우 호흡기 질환에 주 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21 세 이상 구간들 (21~40 세 , 41~60 세 , 61 세 이상 ) 에서는 ‘ 스케일링 급여적용 ’ 으로 인해 ‘ 치은염 및 치주질환 ’ 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