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서 다양한 행사 개최

(미디어원=권호준 기자) ) 환경부가 세계물위원회 (World Water Council) 에서 3 년마다 개최하는 지구촌 최대의 물 관련 국제행사인 ‘2015 대구 · 경북 세계물포럼 ’ 에서 공동 주최기관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

환경부는 12 일부터 17 일까지 대구 엑스코 (EXCO) 와 경주 하이코 (HICO), 현대호텔에서 열리는 세계 물포럼에서 장관급 원탁회의 ( 라운드테이블 ) 등 본 행사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개최 지원을 위해 우리나라의 물환경정책과 물산업의 대외 홍보를 위한 다양한 부대 행사를 마련했다 .

먼저 ,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본 행사 정치적 과정의 8 개 장관급 원탁회의 중 ‘ 지속가능한 물관리 및 생태계 보전 ’ 을 주재할 예정으로 일본 , 케냐 , 사모아 등 6 개국 장관과 4 개 국제기구 사무총장이 참여하여 도시의 물관리 , 생태계 보전 , 국제공조를 논의할 예정이다 .

이와 함께 , 주제별과정 및 과학기술과정에는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KEI) 등이 참여하여 각국의 전문가들과 세계 물 문제의 과학적 해결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

또한 , 엘구자 코크리쉬빌리 조지아 ( 구 그루지아 ) 환경 · 자연자원보호부 장관 , 무샤히드 울라 칸 파키스탄 기후변화부 장관과의 환경협력 양해각서 (MOU) 체결과 더불어 알제리 , 덴마크 , 러시아 , 몽골 등 장관급 양자회담으로 국가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환경부는 세계물포럼 주제별과정 특별세션 및 동시행사 (side event)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

‘ 제 4 회 아시아태평양 대학생 물의회 ’ 가 8 일부터 11 일까지 경북 안동 세계물포럼 기념센터에서 열린다 . 아태지역 대학 ( 원 ) 생 100 여명이 모여 물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선언문을 작성하고 채택하는 과정을 통해 전지구적인 물문제 극복을 위한 논의 과정을 학습한다 . 이들은 오는 15 일 세계물포럼 정부관 컨퍼런스홀에서 선언문을 발표한다 .

13 일에는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 유역관리정책 성과 및 발전방향 ’ 세미나가 열린다 . 이 세미나는 4 대강 수계법 제정 및 운영 성과와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유역관리의 기틀을 마련한 정부 , 학계 , 민간단체 인사가 한 자리에 모일 예정이다 .

특히 14 일 오전에는 대구 엑스코에서 물 관련 글로벌 공공투자 동향 , 클러스터 조성과 혁신적인 민관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물산업 육성사례 등을 고찰하고 포럼 개최지인 대구에 국가 물산업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 및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특별세션이 개최된다 . 같은날 환경부는 지속가능한 물이용 관련 지표를 주제로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KEI) 과 특별세션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

16 일에는 ‘2015 년 세계 물의 날 국제 심포지엄 ’ 이 대구 인터불고 엑스코에서 열린다 . 이번 심포지엄은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지속가능한 수생태계 서비스에 대해서 논의한다 .

이밖에 같은 날 대구 엑스코에서 대한환경공학회 등 8 개 물학술단체 연합회 주최로 ‘ 창조형 미래 물환경산업 발전전략 ’ 에 대한 물환경정책포럼이 열린다 .

한편 ‘ 엑스포 (Expo& Fair)’ 전시회가 대구 엑스코에서 세계물포럼 개최 기간 동안 열린다 . 이 전시회는 전세계 정부 , 기업 등이 물과 관련한 우수한 정책 , 제품 , 기술 등을 홍보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자리다 .

전시회는 물산업 분야에 대해 국가와 기업 간 협력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는 한국관 ( 정부관 ) 을 부처별 전시공간과 세미나 및 이벤트 공간으로 구성한다 .

부처별 전시공간은 환경부 , 국토부 , 농식품부 등 7 개 부처 협업을 통해 물 관련 정책을 전시하고 ‘ 아태 대학생 물의회 선언문 발표회 ’, ‘ 생태하천 수질개선 사례 발표회 ’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

환경부는 부처별 전시공간에서 ‘ 현세대 , 미래세대 , 말 못하는 동식물을 위한 과학적 물관리 ’ 를 핵심 메시지로 사물인터넷 , 무인비행기 ( 드론 ) 등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물관리 시스템을 소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