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반달가슴곰, 5마리 출산

(미디어원=권호준 기자)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3 월 28 일 기준으로 멸종위기종 1 급으로 천연기념물 제 329 호인 지리산 반달가슴곰 새끼 5 마리가 태어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아울러 반달가슴곰 가계도 조사에서 암컷 1 마리가 새로 발견됐다고 전했다 .

지리산 일대 야생에서 활동 중인 반달가슴곰 중 어미 곰 RF-25 가 암컷 1 마리와 수컷 1 마리를 , RF-21 이 수컷 1 마리를 각각 출산했고 자연적응훈련장의 어미 곰 1 마리 CF-37 가 새끼 2 마리 ( 성별 미확인 ) 를 출산했다 .

야생에서 태어난 수컷 새끼 1 마리는 어미 곰 (RF-21) 이 양육을 포기하고 달아나 야생동물의료센터에서 인공 포육 중이며 , 새끼들의 몸무게는 모두 4kg 이상으로 건강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다 .

자연적응훈련장에서 출산한 어미 곰 (CF-37) 은 지난 2011 년 중국에서 도입하여 증식용으로 관리 중이었으며 , 동면 장소의 폐쇄회로 (CC-TV) 를 통해 새끼 2 마리가 태어난 것을 확인했다 .

이로써 지리산 야생에는 현재 37 마리 ( 야생 출생 개체 2 마리 , 가계도 조사결과 발견된 암컷 개체 1 마리 포함 ) 의 반달가슴곰이 살고 있다 . 적응훈련장에서 태어난 새끼 2 마리와 야생동물의료센터에서 포육 중인 새끼 1 마리를 올해 10 월 추가로 방사하면 총 40 마리가 지리산 야생에서 살게 될 전망이다 .

반달가슴곰 가계도 조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004 년부터 추진한 반달가슴곰 증식 · 복원사업 추진과정에서 확보한 32 마리 ( 성체 17 마리 , 새끼 15 마리 ) 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작성됐다 . 그 결과 새로운 암컷 1 마리 (KF-52) 를 추가로 발견해 지리산 야생에 총 35 마리의 반달가슴곰이 활동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

이번에 발견된 암컷 1 마리 (KF-52) 는 2004 년 방사했으나 발신기의 위치 정보가 장기간 수신되지 않아 활동 정보를 파악하지 못했던 개체 (RF-05) 의 새끼로 판명됐다 .

이번 가계도 조사에서 2013 년 당시 RF-21 이 출산한 것으로 확인됐다가 , 3 ∼ 5 개월 이후 어미곰과 떨어져 행방이 묘연했던 수컷 1 마리 (KM-51) 도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이로써 새끼가 어미로부터 조기에 독립해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원장은 “2009 년 첫 출산 이후 지속적으로 새끼를 출산해 현재까지 24 개체가 자연에서 태어났다 ” 며 “ 이번 유전자 분석을 통해 마련한 가계도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에 중점을 둔 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 ” 이라고 말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4 월 중순 이후 동면에서 깬 곰들이 점차 행동영역을 넓혀 활동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리산 국립공원 내의 샛길 ( 비법정탐방로 ) 을 이용하면 곰과 만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해진 탐방로를 이용할 것과 샛길 출입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