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중국 크루즈 관광객…쇼핑 위주 크루즈로는 한계

( 미디어원 = 정현철 기자 ) 아시아의 크루즈 산업은 매년 10% 이상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 세계 크루즈 산업 평균 성장 폭 (3%) 을 웃도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중국인 관광객 급증에 따른 효과다 . 한국 역시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 유치에 심혈을 쏟고 있지만 현안도 산적하다 . 4 월 28 일 롯데호텔에서 열린 ‘ 크루즈 투어리즘 인 코리아 2015’ 를 통해 아시아 크루즈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살폈다 .

아시아 크루즈 초보단계 … 잠재력 커

세계적 크루즈 선사인 카니발 (Carnival) 의 앨런 버클류 (Alan Buckelew) COO 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앞으로 세계 크루즈 산업의 발전을 이끌 지역으로서 아시아가 지닌 잠재력에 주목했다 . 그는 “ 세계관광기구 (UNWTO) 는 2015 년 전 세계 여행자 수가 3~4%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중 아시아 · 태평양 지역은 4~5% 로 성장세가 가장 가파르다 ” 고 전하고 , “ 크루즈에서도 아시아는 극히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향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 ” 고 강조했다 .

카니발사의 조사에 따르면 크루즈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대비 크루즈 이용객 비율이 3.4% 에 달한다 . 이에 비해 동북아 3 개국은 중국 0.01%, 한국 0.02%, 일본 0.02% 로 완전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 그만큼 향후 크루즈 이용객 증가 여지가 크다는 얘기다 .

크루즈 선사들도 이 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 포화상태인 미주 , 유럽 시장에서 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 카니발사에 따르면 2015 년 한 해 동안 52 개 크루즈선이 1,065 회에 걸쳐 아시아 지역을 운항할 예정이다 . 이는 2013 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다 . 여객수용력으로 보면 2013 년 대비 20% 증가한 217 만명에 달한다 . 국가별 기항횟수를 살펴보면 일본이 646 회로 아시아에서 가장 많고 말레이시아가 580 회로 그 뒤를 잇는다 . 한국은 377 회 기항이 예정돼 있다 .

실제로 근래 들어 아시아 지역의 크루즈 여행 수요도 부쩍 증가하기 시작했다 . 앨런 버클류 COO 는 “2014 년 아시아 지역의 크루즈 수요는 140 만명으로 전년대비 34% 증가했다 ” 고 밝히고 “ 특히 중국의 경우 아시아 크루즈 전체 수요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는데 , 중국의 아웃바운드 시장 성장세를 감안하면 앞으로 크루즈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 ” 이라고 내다봤다 . 크루즈 산업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이 뜨거운 이슈로 부상한 셈이다 .

크루즈에서도 중국인의 ‘ 파워 ’

한국 역시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 2014 년 크루즈를 통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95 만 4,000 명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했다 . 전체 방한 외래객 1,420 만명의 약 6.7% 가 크루즈 관광객이었으니 상당한 비중이다 .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영향이 컸다 . 방한 크루즈 관광객 중 중국인이 87% 로 절대적이며 , 일본인 (4%) 과 미국인 (2%) 등 그 외 국가의 비중은 극히 작다 .

방한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은 2012 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해 5 월부터 시행된 ‘ 관광상륙허가제 ’ 의 영향도 한 몫 한 것으로 추정했다 . 관광상륙허가제는 크루즈로 한국을 찾는 외래객에 대해 출입국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 특히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경우 중국인 유치 전담여행사가 모객한 경우 사증 없이도 관광상륙허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실상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 유치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다 . 정부는 또 올해 1 월 ‘ 크루즈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이 제정된 데 맞춰 범정부적 차원에서 크루즈 항만시설 확충 , 관광안내 및 교통인프라 개선 등에 나서는 등 크루즈 관광객 유치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

쇼핑 위주 기항지 관광의 그림자

방한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 급증의 그림자가 없는 것은 아니다 . 양적 성장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속속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 쇼핑 위주의 기항지 관광과 이로 인한 관광객 불만 , 면세점이나 쇼핑센터 등 특정 부문으로만 수혜가 편중된다는 점이 대표적으로 꼽히고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박종택 과장은 “ 중국 대형여행사의 저가 패기지 상품 기획이 확산돼 양질의 기항지 관광프로그램 , 우수한 가이드 , 원활한 기항지 교통 인프라의 필요성도 그만큼 커졌다 ” 고 지적했다 . 제주크루즈포럼 김의근 위원장 역시 “ 쇼핑 등 특정 부문으로만 크루즈의 수혜가 한정된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 며 “ 한 · 중 · 일 관광장관회의 때 3 개국 크루즈실무회의를 병행해 3 국간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방안 ” 이라고 말했다 . 경기대 이경모 교수는 “ 치열한 가격경쟁과 이로 인한 저질 상품 및 기항지 관광은 필연적으로 관광객 불만을 야기하고 이는 다시 한국 재방문을 막는 악순환을 형성한다 ” 며 “ 마이너스 투어피에 의한 관광객 모객과 쇼핑 중심의 크루즈 관광을 과연 누가 원하는 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 ” 이라고 지적했다 .

일본 기항횟수 급증 … 소외될라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의 발길이 일본으로 쏠릴 조짐이 일고 있다는 점도 질적 개선 필요성을 높이는 요소다 . 그동안 한국 위주로 이뤄졌던 중국인들의 크루즈 관광이 일본으로 옮겨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주 부연구위원은 “ 엔저 현상과 관광상륙허가제 시행 , 적극적인 기항지 설명회 등을 배경으로 올해 일본의 크루즈 기항횟수가 급증했으며 , 이로 인해 ‘ 동북아 크루즈 라인 ’ 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것 ” 이라고 예상했다 . 윤 부연구위원이 여러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시아 지역 기항횟수를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이 646 회로 2013 년 대비 무려 238 회 증가한 반면 한국은 377 회로 84 회 증가에 그쳤다 .

여행업 현장에서는 현장 나름대로의 고충을 털어놨다 . 중국 인바운드 기항지 관광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광보여행사 손완 이사는 “ 쇼핑은 여행의 중요한 축으로 이를 없앤 상품은 오히려 고객들로부터 외면을 받는다 ” 며 쇼핑에 대한 무조건적인 부정적 접근을 경계했다 . 단 무리한 쇼핑이 문제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다 . 손 이사는 “ 마이너스 투어를 없애 한국 인바운드 여행사의 적정 수익 기반을 다져야 하고 , 업계 차원의 자율정화 노력도 필요한데 현실적 여건상 쉽지만은 않다 ” 고 토로했다 .

별도의 자격제도 도입 등 모색해야

크루즈 관광객 유치 전담여행사 자격제도를 도입해 출혈경쟁과 이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자는 제안도 다수 나왔다 . 롯데관광개발 백현 대표는 자격요건을 강화한 ‘ 크루즈 전문 전담여행사 ’ 를 지정해 기존의 불공정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백 대표는 외국 크루즈선사와의 기항지 관광행사 전담계약을 소지한 여행사 , 여행객 배상책임 보험한도 100 만 달러 이상 , 문화체육관광부가 제시한 기준 등을 충족한 여행사 등으로 자격요건을 제안했다 . 경기대 이경모 교수 역시 “ 기존의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치 전담여행사가 크루즈 관광객 유치도 함께 다루는 게 과연 옳은 것인지 , 별도의 인증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