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회원권의 끝없는 추락, ‘초고가 회원권’자취 감춰


( 미디어원 = 구윤정 기자 ) 한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골프회원권 시장이 ‘ 날개없는 추락 ’ 을 계속하고 있다 . 최고 20 억원을 넘었던 이른바 ‘ 초고가 회원권 ‘ 이 이제는 자취를 감췄다 .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13 일 발간한 ‘ 레저백서 2015’ 에 따르면 8 억원을 초과하는 골프회원권은 2008 년 4 월 13 개에서 올해는 딱 1 개가 남았다 . 남부 (13 일 현재 8 억 4000 만원 ) 다 . 6000 만원 미만의 초저가는 반면 같은 기간 18 개에서 46 개로 급증했다 . 회원권의 가치가 접대와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에서 개인의 이용과 실질적인 혜택으로 이동하면서 거품이 빠졌기 때문이다 .

회원권 평균가 역시 2008 년 4 월 3 억 1700 만원에서 지난달 1 억 1440 만원으로 63.9% 나 폭락했다 . 수도권이 -69.2% 로 하락폭이 가장 컸고 , 충청권 -55.7%, 강원권 -51.7%, 호남권 -26.5% 등이다 . 영남권이 오히려 2.5% 상승했다는 게 이채다 . " 골프붐이 이어지면서 골프인구가 여전히 풍부하다 " 는 분석이다 .

가격대별 비중은 8 억원 이상 0.8%, 3~5 억원 5%, 6000 만원 ~3 억원 미만 55.9%, 6000 만원 미만 38.3% 의 분포도다 . 과거 일본 골프장이 걸었던 경로와 비슷하다 . 1000 만엔 이상 고가는 1990 년 2 월 83.3% 에서 2013 년 2.3% 로 급감했고 , 100 만엔 미만 저가는 0% 에서 81.2% 로 대폭 증가했다 . 서천범 소장은 " 회원권의 투자 가치가 사라지면서 하락세가 지속되고 저가권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 " 이라고 예상했다 .

시가 총액은 이미 ‘ 반토막 ‘ 이 난 상황이다 . 회원권 값에 회원 수를 곱한 , 이를테면 회원권시장 전체의 자산 규모다 . 2008 년 30 조 8900 억원에서 지난해는 15 조 6400 억원으로 집계됐다 . 지난 7 년간 15 조 2500 억원이 허공으로 날아갔다는 이야기다 . 2010 년 ‘ 반짝 상승세 ‘ 를 보인 게 마지막 호황이었다 . 글로벌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신설골프장이 급증하면서 공급 과잉이라는 직격탄을 맞았다 .
더 큰 문제는 회원제의 경영 악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데다가 입회금 반환사태 등 사상 초유의 악재들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 회원제의 붕괴라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 예전에는 95% 이상의 주류였던 회원제가 지금은 60% 로 떨어진 이유다 . 전문가들은 " 그나마 사정이 나은 퍼블릭으로 속속 전환하는 추이라 향후 30% 이하까지 하락할 것 " 이라며 " 소수 정예의 프리미엄급으로 재편될 수밖에 없다 " 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