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 김인철 기자 ) 2013 년 초 자전거 제조업체 에이모션에서 열린 경영회의 . 주제는 ‘ 팻 (fat) 바이크 ’ 였다 . 몇 년 전부터 미국 등지에서 인기를 끈 팻바이크는 두꺼운 뼈대 ( 프레임 ) 와 광폭 타이어를 가진 ‘ 뚱뚱한 ’ 자전거다 . 눈길 , 사막 등에서 달리고 싶은 라이더들이 타던 제품이다 . 처음에는 일반 MTB 타이어를 붙여 개조해 타던 것을 전용 광폭타이어와 그에 맞는 프레임을 제작해 타면서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대중화 되었다 . 러시아 수출용으로 소량 생산하고 있었는데 국내 판매 요청이 이어지자 출시를 고려하게 된 것 . 정문위 에이모션 대표는 1 년여간 연구개발을 거쳐 지난해 2 월 한국인 체형에 맞는 ‘ 우라노 ’( 사진 ) 를 출시했다 . 성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 내놓는 족족 모두 팔렸다 . 지난달까지 5000 대 이상 판매했다 .
그동안 팻바이크는 소수 마니아의 전유물이었다 . 최근에는 일반 동호인도 팻바이크를 찾기 시작했다 . 2013 년 12 월 생긴 국내 최대 팻바이크 동호인 카페인 네이버 ‘ 팻빠 ’ 회원은 현재 5000 명이 넘는다 .
팻바이크 무게는 15~18 ㎏ 으로 , 10 ㎏ 안팎인 일반 자전거보다 무겁다 . 바퀴도 두꺼워 속도를 내기 쉽지 않고 조작이 힘들다 . 하지만 ‘ 남들과 다른 ’ 제품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이 인기 요인이다 . 운동 효과가 큰 것도 특징이다 . 팻빠를 운영하는 어태범 씨는 “ 일반 자전거를 타는 것보다 몇 배 힘이 드는 만큼 다이어트에 효과적 ” 이라며 “ 승차감이 좋고 , 노면이 좋지 않은 겨울에 탈 수 있는 것도 장점 ” 이라고 설명했다 .
팻바이크족 ( 族 ) 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국내 제품을 주로 구매한다 . 에이모션의 우라노 , 알톤스포츠의 맘모스 , 삼천리자전거의 허리케인 등이 대표적이다 . 가격은 40 만 ~180 만원대다 . 200 만원 이상인 설리 , 스페셜라이즈드 등 해외 제품에 비해 저렴하다 .
업체들은 팻바이크 특수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 에이모션은 팻바이크 인기가 로드바이크 , 산악자전거 등으로 확대되면서 지난해 134 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급증한 것 . 알톤스포츠도 올 들어 지난달까지 팻바이크를 2000 대 이상 팔았다 . 지난해 판매량인 1000 여대를 훌쩍 뛰어넘었다 .
업체들이 제품군 확대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 각 업체는 카본 등 가벼운 소재를 쓰고 , 부품을 고급화한 팻바이크를 속속 내놓고 있다 . 에이모션은 올해 팻바이크 종류를 1 종에서 4 종으로 늘렸다 . 올 하반기에는 어린이 · 여성용 제품도 선보일 계획이다 . 알톤스포츠도 올 들어 제품을 1 개에서 6 개로 확대했다 .
코스모스팜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