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관광발전을 위해 시급한 관광마케팅

사진:용인시의 경전철, 대표적인 실패사업으로 꼽히고 있지만 용인관광의 핵심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관광산업의 중요성과 무궁무진한 잠재가치에 눈을 뜨고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 지난 반세기 동안 무관심하다시피 던져 놓았던 관광산업이 국가경제와 지역경제를 이끌어 갈 기대주로 급부상한 것은 불과 10 년이 채 되지 않는다 .
짧은 10 년 동안의 투자와 노력으로 국민관광 외국인관광 등 모든 면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
물론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의 여가활용 욕구의 증대 , 세계 10 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한국에 대해 고조되는 외국인들의 관심 그리고 이에 더한 한류의 세계 문화 공략 등이 관광산업의 획기적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

2000 년 초반 하동과 산청을 비롯한 몇몇 지방자치단체 관광부서의 노력이 단기간에 성과를 얻어 내면서 2000 년대 후반에 이르러 관광산업 활성화는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화두가 되었다 . 산업 활성화를 위한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정부의 지원 역시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 .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기반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 교량과 도로가 정비되고관광지의 개발과 숙박시설 등 관광의 기본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

사진: 전북과 충남의 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새만금개발사업
지방자치단체가 선뜻 나서기 어려운 대규모 사업들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지역 간의 큰 차이 없이 내외국인의 국내관광을 위한 기반 인프라는 훌륭히 조성되었다.
중복 사업 , 전시 행정적 사업 , 실효성 없는 단순 개발 사업 등 잘못된 부분에 지적이 없지 않지만 국내관광 활성화와 국민여가선용이라는 대명제는 성공적으로 실현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
국내관광 활성화는 이제 반환점을 막 돌아 나선 정도로 볼 수 있다 .
하드웨어적인 면의 관광 인프라는 성공적으로 구축되었으며 지방축제의 정착 등 소프트웨어적인 인프라 역시 정립되어 가고 있다 .

현 시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에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중복 사업 , 실효성 없는 사업들의 효율을 제고하고 방만해진 조직을 재정비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며 동시에 마케팅 부분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취해야
할 것이다 .
본지에서는 2014 년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충청도의 84 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관광산업 현황을 둘러보기 위해 직접 방문 취재를 진행한 바 있다 . 84 개 지방자치단체 중 관광인프라를 위한 투자가 진행되지 않았던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많은 개발 사업들이 완료되거나 진행 혹은 계획되고 있었다 .
그러나 놀랍게도 84 개 지방자치단체 어느 곳에서도 관광전문가는 만날 수 없었다 .
수십 수백 수천억 원의 개발이 관광산업에 문외한이라 해도 좋을 공무원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을 납득할 수 있을까 ?
물론 우리 사회에서 관광산업 전문가는 찾아보기 어렵다 .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을 지휘할 수 있는 Destination Marketing 전문가는 전무하다시피 하다 .
Destination Marketing 이라는 단어조차 극히 생소한 것이 현실이다 .
방문했던 지방자치단체 중 어느 곳도 관광개발을 위한 Master Plan 을 제시하지 못했던 것은 더욱 놀라운 사실이었다 . Destination Marketing 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Marketing Plan, Revenue Plan, 3 Year Strategic Plan, 5 Year Plan 이 준비된 곳은 물론 용어를 이해하는 담당자를 만날 수도 없었다.
마스터플랜 없이 개발위주로 정부에서 지원이 결정된 사업을 진행하다보니 각각의 사업 간의 연계가 어렵고 개발 후 운영 및 발전 방안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겨를도 없다는 것이 솔직한 의견이었다 .
거제와 합천 등 몇몇 지자체에서는 관광마케팅팀이라는 별도의 조직을 갖추고 있었으나 담당자의 경력과 관광마케팅과는 전혀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
반환점을 돌고 있는 현시점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서둘러야 할 것은 , 비록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관광마케팅의 마스터플랜을 구축하고 세부 운영 계획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또한 관광산업 담당자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이들이 전문지식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무엇보다 시급한 일이다 .
관광산업이 활황기에 접어든 지금이라도 속히 조직을 강화하고 개인의 역량과 전문성을 제고한다면 관광산업의 성장 속도를 더함으로써 국가경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Next Articles
관광산업 현황과 문제점 #3 Destination Marketing 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는가 ?
관광산업 현황과 문제점 #4 관광산업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
관광산업 현황과 문제점 #5 관광마케팅과 홍보는 어떻게 해야 하나 ?
관광산업 현황과 문제점 #6 Master Plan 구축 방법과 Marketing Plan 작성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