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보안검색대, “국내선은 ‘라이터’, 국제선은 ‘액체류’가 가장 많이 적발돼

1306

(미디어원=권호준 기자) 김포국제공항에서 지난 4 년간 보안검색과정에서 가장 많이 적발된 물품은 국내선은 라이터 , 국제선의 경우 액체류이었다 .

라이터는 국내선 전체 금지물품 적발 건의에 50.9% 에 달했으며 , 칼 , 가위가 각각 29.8%, 10% 로 뒤를 이었다 .

국제선에서는 음료 , 화장품 , 김치 , 젓갈류와 같이 폭발물로 오인받을 수 있는 액체류가 69.1% 를 차지했다 .

라이터는 습관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물품으로 , 어디에 두었는지 정확히 몰랐으며 , 특히 ‘ 기내 ’ 에만 화기 등 위험물질을 소지하지 않으면 된다는 생각에 짐에 넣었다 . 라이터는 위탁수하물로는 가져갈 수 없으며 , 기내에 1 인당 1 개만 갖고 들어갈 수 있다 .

휴대용 전자의료 장비의 경우 교체용 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 맡길 수 없고 , 보관함에 안전하게 넣은 경우에 한해 2 개까지 객실반입이 가능하다

액체 및 겔류는 기내에는 100ml 이하 , 위탁수하물로는 500ml 이하 용기로 1 인당 2L 까지만 가능하다 . 주의해야할 점은 모두 용기 기준이기 때문에 용기 안에 액체 또는 겔류가 일부만 들어있어도 규정에 위반된다 .

2014 년 1 월 ‘ 항공기 내 반입금지 위해물품 ’ 이 개정되면서
보안위협 수단에 사용될 가능성이 적은 긴 우산 , 손톱깎이 , 바늘 등 일반 생활용품이나 위험성이 낮은 버터칼 , 플라스틱칼 등의 기내 반입을 허용하는 등 합리적인 수준으로 바뀌어 여행객이 무심코 가져오는 반입금지 물품을 공항에서 포기해야 하는 승객 불만과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

한국공항공사는 기내반입금지 물품목록을 확인한 후 공항으로 출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보안 규정을 지키는 승객이 늘어나면 보안검색 과정에서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


항공사 카운터에서 출국수속을 마치게 되면 위탁수하물과 휴대물품은 다음과 같은 보안검색 과정을 거쳐 항공기에 최종적으로 실리게 된다.

– 출발 전 공항보안검색 과정은 ∆ 위탁수하물 ∆ 휴대물품 X-ray 판독 과정 등 2 회 실시한다 . ​

– 위탁수하물은 컨베이어 벨트로 옮겨진 짐을 내부 판독실에서 항공보안검색요원에 의해 위해물질이 발견될 경우 , 수분에 걸쳐 해당 수하물 승객을 호출하여 직접 개봉을 요청한다 . 그래서 체크인 후 체크인 카운터 옆에 잠시 대기했다가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 휴대물품은 보안검색대 통과 시 바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X-ray 모니터 상에 위해물질이 발견되면 그 자리에서 바로 가방을 개봉하고 위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