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사는 ‘부산발’, 대형항공사는 ‘중국’노선 경쟁치열

290

( 미디어원 = 권호준 기자 ) 국내 항공사들 사이에 부산발 중국행 노선 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

20 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은 부산을 거점으로 국내 · 국제선 노선을 잇달아 취항하고 있다 .

제주항공은 지난달부터 부산 김해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일본 오사카 · 후쿠오카 , 대만 타이페이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 . 부산 ~ 괌 노선 역시 주 2 회에서 주 4 회로 증편하는 등 부산발 운항을 확대하고 있다 .

진에어는 하계 시즌에 부산 ~ 후쿠오카와 부산 ~ 라오스 비엔티안 · 태국 방콕 등 부산발 신규 노선을 개설할 계획이다 .

진에어 관계자는 " 경남권 이용객들의 여행 수요를 끌어들이고 하계 국제선 좌석 공급력 확대에 적극 나설 것 " 이라고 말했다 .

부산을 거점으로 성장한 에어부산 역시 지난달 부산 ~ 베트남 다낭에 신규 취항하는 등 부산대표 항공사의 입지를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 주 2 회 운항하는 부산 ~ 다낭 정기편은 이번 달부터 8 월까지 주 4 회로 늘어나 운항된다 .

저가항공사들이 부산발 노선경쟁에 나서고 있는 한편 대형항공사들은 중국 노선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 환승관광 무비자입국 등으로 중국인 관광객 ( 유커 ) 이 급증한데 따른 결과인데 , 올해 1 분기 중국 여객은 402 만 2789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8% 나 증가했다 . 동남아가 같은 기간 16.8% 늘어난 것과 대조된다 .

대한항공 (003490) 은 올해 중국 노선 최다 운항 항공사 타이틀을 거머쥘 예정이다 . 대한항공은 지난 11 일 인천 ~ 난닝 , 12 일 제주 ~ 구이양 노선에 취항하면서 현재 31 개의 중국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 다음달 대구 ~ 선양까지 신규 취항하게 되면 아시아나항공 (020560) 의 최다 운항 수를 넘어서게 된다 .

현재 대한항공과 같은 31 개의 중국 노선을 운항하는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신규 취항 계획이 없지만 , 기존 고정수요로 인한 효과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올해 1 분기 중국 여객 매출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포인트 늘어난 18.9% 로 나타났다 .

제주항공은 베이징 , 스자좡 , 자무쓰 , 칭다오 , 웨이하이 등 , 이스타항공은 청주공항을 중심으로 상하이 , 옌지 , 하얼빈 , 다롄 등에 취항했고 올해 신규 노선을 검토하고 있다 . 이밖에 다른 저비용항공사들도 지난해 배분 받은 운수권에 취항한 상태다 .

다만 중국 노선은 운수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 중국의 경우 오픈스카이 ( 정부 사전 승인없이 신고로만 취항이 가능토록 한 협정 ) 인 관둥성 · 하이난을 제외한 모든 지역은 정부간 항공회담을 통해 운수권을 배분 받아야 취항이나 증편이 가능하다 .
가장 최근 열린 한 – 중 항공회담은 지난해 4 월 있었다 . 이 자리에서 인천 ~ 스좌장 · 난닝 · 인촨 · 옌청 · 허페이 등과 함께 청주 , 부산 , 제주 , 광주 등 지역발 중국 노선의 신규취항 · 증편 운수권 배분이 이뤄진 바 있다 .

업계 관계자는 " 최근 중국인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중국 노선이 황금노선이 됐다 . 올해 1 분기 인천공항의 중국 노선 여객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2% 나 늘었다 " 며 " 앞으로 있을 중국 항공회담에서는 황금시간대 운수권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 " 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