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 김인철 기자 ) 본격적인 여행성수기를 앞두고 국내 항공사들이 앞다퉈 제주행 특가항공권을 내놓으며 제주를 찾는 여행객들의 발걸음이 한층 가벼워지고 있다 .
22 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의 급성장의 영향으로 특가항공권이 늘어나면서 제주 노선에서 최저 1 만원대 항공권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
에어부산은 최근 부산 ~ 제주 노선에서 1 만 9900 원짜리 ( 편도 최저 총액운임 기준 ) 특가항공권을 선보였다 . 김포 ~ 제주도 2 만 4900 원으로 기존 정상운임에 최대 75% 까지 할인이 이뤄졌다 .
제주항공도 김포 ~ 제주 2 만 9000 원 , 부산 ~ 제주 1 만 9500 원 , 대구 ~ 제주 1 만 6500 원대의 특가항공권을 5 월 한달간 판매하고 있다 . 기존운임보다 최대 63% 할인된 금액이다 .
이밖에 티웨이항공은 김포 · 광주 · 대구 · 무안 ~ 제주 1 만 7200 원 , 진에어는 김포 ~ 제주 2 만 5400 원 , 부산 ~ 제주 2 만 400 원 , 이스타항공도 제주 노선 항공권을 2 만원대에 판매한 바 있다 . 이에 각 항공사들의 서버증설에도 특가항공권 판매기간 동안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
심지어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 (003490) 과 아시아나항공 (020560) 도 올해 초 소셜커머스 등을 통해 3 만원대 김포 ~ 제주 항공권을 내놓기도 했다 .
제주로 휴가를 떠나려는 회사원 김모씨는 "4 인 가족이 대형항공사를 이용하면서 100 만원은 훌쩍 넘어가는데 반해 특가항공권의 경우에는 20 만원이면 충분하다 " 며 " 다만 최저가가 주중에 한정됐고 예매도 쉽지 않아 아쉽다 . 다음에는 꼭 예매에 성공할 것 " 이라고 말했다 .
이 같은 특가항공권은 대부분 얼리버드 형식으로 진행된다 . 탑승일정보다 2~3 개월 전에 미리 좌석을 예매토록 해 미리 소비자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다 .
18~19 일 이틀 간 판매된 에어부산의 제주 특가항공권의 탑승일정은 18 일부터 7 월 22 일까지다 . 제주항공은 30 일까지 탑승기간으로 1 개월남은 항공권에 대해서도 수시 할인이 이뤄진다 .
이런 탓에 환불수수료가 비싸거나 날짜 변경이 어려운 등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 있어 특가항공권을 이용할 경우 주의가 요구된다 . 실제 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1~9 월 간 항공서비스 피해사항으로 항공권 구매취소시 과다한 위약금 요구나 환급거절 (45.7%) 이 가장 많았다 .
업계 한 관계자는 " 약관을 꼼꼼히 살펴보고 신중히 구매에 나서야 한다 " 고 조언했다 .
코스모스팜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