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으로 인천공항 이용객 급감..항공사와 면세점도 울상

123

( 미디어원 = 권호준 기자 )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 국내 ‘ 메르스 (MERS)’ 확산 추세가 외국인 관광객의 감소로 이어지면서 인천공항 이용객도 급감해 인천공항공사가 비상이 걸렸다 .

공항은 물론이고 항공사와 면세점 , 여행사 및 호텔 등 관련 업계는 메르스 직격탄으로 인한 실적 부진으로 울상을 짓고 있다 .

인천공항공사와 업계가 14 일 밝힌 바에 따르면 인천공항은 메르스 확산에 따른 불안감 확산으로 이용객이 급감하고 , 항공사와 면세 점 등 공항에 입점해 있는 업계의 실적도 위협받고 있다 .
메르스는 하루 평균 12 ∼ 14 만명을 유지했던 인천공항의 이용객 추세를 꺾어놓았다 . 인천공항공사는 최근 이용객이 10 만명 이하로 급감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지면서 바짝 긴장한 모습이다 .

최근까지 인천공항은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수요의 증가로 이용객 수가 꾸준히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메르스가 부정적으로 제동을 걸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출국자 감소 추세에 입국자도 확연하게 줄어 든 모습이다 .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여행객들이 7 일째 연속으로 줄어들면서 면세점의 매출도 3~5% 정도 감소하는 추세여서 업계는 좌불안석이다 . 특히 중동발 메르스는 인천공항공사의 환승객 유치 전략에도 악재로 작용해 발목을 잡고 있다 .

중동 · 유럽 등 장거리와 아시아 중 · 단거리를 연계한 심야시간 운항을 늘려 환승객 잡기에 나선 인천공항공사가 공을 들이는 환승객 유치 전략이 차질을 빚고 있다 .
또 국내에서 메르스 추가 감염환자가 나타나면서 중국과 일본 여행객들 사이에 한국 여행을 기피하는 전염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

중국 · 대만 · 홍콩 등 중화권 및 일본인 관광객들의 한국 여행 취소가 잇따라 관광산업 전반에 걸쳐 타격을 주고 , 관련 업계는 위축된 상태다 .

메르스로 6 월에 한국 관광을 포기한 여행객들이 10 만 여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항공업계는 이미 여름철 항공성수기를 앞두고 해외여행객은 급감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운 상태에 직면해 있다 .
여름철 성수기 실적으로 1 년 살림을 꾸리는 항공업계 특성을 고려하면 메르스는 올해 항공사들에게 경영상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 메르스 여파로 중국인 여행객들의 입국이 눈에 띄게 크게 줄어들고 있다 " 며 " 여행객들의 메르스에 대한 불안에 해소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인천공항 이용객들의 안전한 입 · 출국을 위해 메르스 대책반 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