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회항 이후 연이은 악재에 신음하는 한진그룹


( 미디어원 = 구윤정 기자 ) 땅콩회항사건으로 큰 홍역을 치뤘던 대한항공이 사건 이후에도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와 검찰 수사 등 기업을 흔드는 악재가 계속되고 있다 .

최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장녀인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복귀를 시사한 발언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

24 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및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의 일감몰아주기 조사를 받고 있는 싸이버스카이는 조 회장의 세 자녀가 똑같이 지분 33.3% 씩을 쥐고 있다 .

대한항공 기내잡지 광고와 면세품 통신판매를 독점하는 회사로 , 지난해 내부거래는 전년 대비 10% 넘게 늘어났다 .

싸이버스카이는 지난해 계열사들로부터 약 40 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전년 약 36 억원 대비 11% 가량 증가한 것으로 , 총 매출의 83.7% 에 달하는 규모다 .

계열사별 매출을 보면 대한항공 35 억 6000 만원 , 한국공항 2 억 4900 만원 , 칼호텔네트워크 8300 만원 , 한진 5800 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9.3% 증가한 12 억 3100 만원을 내면서 , 25.1% 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

싸이버스카이는 최근 5 년간 20% 가 넘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이어가고 있다 . 이는 재벌 오너의 자녀들이 소유하고 있는 계열사에 주력 계열사들이 ‘ 일감 몰아주기 ’ 를 하고 있다는 의심을 사기 충분한 부분 .

한진그룹 관계자는 "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내부거래가 늘어났다 " 며 " 공정위 조사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뭐라고 설명하긴 어렵다 " 고 말했다 .

공정위의 일감몰아주기 조사와 함께 이번에는 조 회장의 언급이 도마 위에 올랐다 .

이달 중순 프랑스 파리에어쇼가 열린 르부르제 공항에서 세 자녀의 역할 변화를 묻는 기자단 질문에 " 세 명이 각자 전문성이 있으니 전문성을 최대로 살리겠다 " 고 답한 것이다 .

조 회장이 장녀의 경영 일선 복귀를 암시하면서 , 조 전 부사장이 집행유예로 석방된 지 한 달도 채 안된 마당에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쏟아져 나왔다 .

일각에서는 조 회장이 파리에어쇼에서 13 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자금을 들여 신규 항공기 100 대를 도입한 것과 관련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업계 한 관계자는 " 미국의 거대권력 집단인 항공기 제조사들의 지지를 얻어 현지에서 진행 중인 회항사건 재판을 유리하게 다지면서 , 조 전 부사장의 경영 복귀를 꾀하기 위해 경영실적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수를 둔 것 같다 " 고 말했다 .

대한항공은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3950 억원에 당기순손실 4578 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

이같은 상황에서 한진그룹은 검찰의 수사까지 받으며 난관에 봉착했다 .

서울남부지검 형사 5 부 ( 부장검사 최성환 ) 는 22 일 서울 소공동 한진과 공항동 대한항공 , 여의도 한진해운 본사 3 곳을 압수수색했다 .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조 회장에게 청탁해 자신의 처남을 그룹 관계사에 취업시켰다는 의혹이 발단이다 .

한진그룹 측은 곧바로 해명자료를 내고 " 조 회장은 이 사안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다 . 문 의원의 처남이 취업했던 미국 브릿지 웨어하우스사는 단 한 푼도 투자하지 않은 별개법인으로 한진그룹과 관련이 없음을 명확히 밝힌다 " 는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