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노인의료비 관련 심포지엄’ 개최

건보공단 , ‘ 노인의료비 관련 심포지엄 ’ 개최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 ( 이사장 성상철 ) 은 8 월 31 일 ( 오후 1 시 30 분 ) 국회 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 인지저하 그리고 넘어짐 ,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를 주제로 노인의료비 관련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이번 심포지엄은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김춘진의원이 주최하고 ,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연세대학교 ( 유럽사회문화연구소 ) 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

발표는 신일호 공단 요양운영실장이 ‘ 인지저하와 넘어짐 , 그 의료적 비용 ’ 을 주제로 , 박동준 연세대학교 교수가 ‘ 국가차원의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조치 방안 ’ 을 주제로 한다 .

토론자는 정윤순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장 , 한민호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과장 , 강세훈 노인회 행정부총장 , 박영숙 서울시 건강증진과장 , 윤종철 경기도 광역치매센터장 , 강경희 함양군 보건소장 등 6 명이다 .

이번 심포지엄의 목적은 우리사회가 고령화 되면 될수록 뇌기능과 근력이 함께 저하되는 등 치매유병율이 증가하고 , 넘어짐 ( 낙상 포함 ) 관련 의료비 지출도 빠르게 증가하게 되고 , 어르신의 안정된 삶이 무너지는 대한 사회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는 나라이며 , 이에 따라 노인의료비도 급증하고 있는데 , 65 세 이상 노인의료비 (14 년 건강보험 총 진료비 54 조 4 천억 , 노인진료비 19 조 8 천억으로 36.5%) 는 연평균 증가율은 10.8% 이다 .

노인의료비 중 사회적 부담을 주고 있는 질병군은 신생물 (11.4%), 당뇨 . 대사장애 (3.1%), 고혈압 . 심장질환 (8.9%), 근골격계통 (14.5%) 으로 37.9% 를 차지하고 있다 .(2014 년 기준 )

한편 널리 알려지지 않은 질병군으로는 정신 및 행동장애 (11.3%), 신경계통의 질환 (5.5%) 으로 16.8% 이며 , 여기에 순환계통의 뇌질환 (8.8%) 을 더하면 25.6% 를 차지한다 .

정신 및 행동장애와 신경계통의 질환 등 일부는 그 증가율이 연평균 20% 를 넘으며 , 손상 · 부딪힘 ( 넘어짐 표현 ) 등으로 진료 받은 어르신은 무려 198 만명 ( 할머니 120 만 , 할아버지 78 만 ) 이다 .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사전예방 또는 지연이 제시되며 , 그 주요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

알츠 존 설치 : 어르신의 인지저하 및 넘어짐에 대한 사회적 보호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

※ 알츠 존 : 치매 어르신의 사회적 보호 ( 지인 등과의 교류 , 문화매체 등 지적 활동 , 뇌활력 운동 등 ) 를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의미하며 , 어르신과 그 가족 , 그들의 친구가 안전한 환경에서 정서적 지지 , 교육 , 사회적 교류를 할 수 있도록 모이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임

문화매체 활용 : 알츠 존 내에서 채택 가능한 노인건강과 문화매체의 활용에 관한 내용이다 , 한마디로 문화적 콘텐츠를 활용하여 어르신이 고립으로부터 벗어나 , 지인들과 교류하면서 잔존기능을 최대한 이끌어 내어 스스로의 자존적 ( 自尊的 ) 사고를 키울 수 있다 .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구체적 방안으로 전국에 알츠 존 ( 전국 1000 여개 ) 을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알츠매니저 1500 명 배치 , 노인건강과 문화매체 콘텐츠 정기발행 등 제안하고 있다 .

노인이 종일 집안에만 머물러 있다면 , 뇌기능과 근력 저하되기 때문에 지인과 사회적 활동 ( 또는 교류 ) 을 늘려주는 사회적 인프라 필요가 절실하다 .

심포지엄 관계자는 “ 인지적 활동 및 주변 환경을 개선하면 치매 어르신의 ‘ 넘어짐 · 부딪힘 또는 낙상 ’ 등을 줄이는 개선효과는 분명하며 , 노인등의 일상에서의 시간 사용 및 공간 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경우 인지저하와 넘어짐이 동시에 개선될 것 ”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