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년의 정부 숙원사업 , 경주 방폐장 준공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경상북도는 28 일 경주 방폐장에서 김관용 경북도 도지사 , 황교안 국무총리 , 최양식 경주시장 , 정수성 국회의원을 비롯하여 관련 유관기관장과 지역주민 등 1,000 여명이 자리한 가운데 30 년의 정부 숙원사업이었던 방폐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
지난해 12 월 11 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사용승인 허가를 받은 경주 방폐장은 올해 7 월 13 일 최초로 16 드럼의 방폐물을 처분했으며 , 본격적인 운영에 앞서 이날 준공식을 가졌다 .
경주 방폐장은 지난 1986 년 정부 방폐장 부지선정 작업 시작 후 아홉차례에 걸쳐 후보지 공모에 신청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 2005 년 유치지역지원특별법을 공포 (’15.3.31) 하고 4 개 시 · 군 ( 경주 , 군산 , 영덕 , 포항 ) 주민투표에 의해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던 경주가 최종 방폐장 부지로 확정 (‘05.11.2) 됐다 .
* 선정경과 : 안면도 (1990) → 굴업도 (1994) → 부안 (2004) → 경주 (2005)
방폐장은 전체규모 80 만 드럼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 이번 1 단계 처분시설은 총사업비 1 조 5,436 억 원이 투입되어 10 만 드럼 규모의 동굴처분방식으로 건설됐다 .
2 단계 공사는 12.5 만 드럼 규모의 천 층 처분 방식으로 추진될 계획이며 현재 환경영향평가 주민 공청회까지 추진돼 있는 상황이다 .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는 방폐장 부지확보사업의 첨예한 갈등을 주민투표와 경주지역주민들의 협조와 양보를 거쳐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한 모범사례라고 극찬하면서 방폐장 건설을 위해 노력한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치하했다 .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 정부 에너지정책의 최대 지지자는 바로 경북이며 , 경주를 비롯해 우리 道 내 원전 ( 예정 ) 지역인 울진 , 영덕은 묵묵히 정부 에너지정책을 따라 주었으나 최근 영덕 신규원전 추진에 대한 반대여론에 대해서는 중앙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시점 ” 이라고 말했다 .
* 한울원전 대타협 (’14.11 월 ), 월성 1 호기 수명연장 수용 (’15.6 월 ), 영덕신규원전 건설 (’15.7 월 ) 등
또한 김관용 도지사는 원전 관련 지역의 민심을 전달하는 한편 ,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 제 2 원자력연구원 ,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우선 추진 등을 건의하면서 대한민국 원자력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경상북도가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으로 배려해 줄 것을 건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