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52.4% 는 ‘ 메뚜기형 구직자 ’··· 2 년 전 대비 4.5%p 늘어
-메뚜기형 구직자 70.2%, 목표 ‘2 번 이상 ’ 바꿔
-메뚜기 구직 이유 , 30 대 ‘ 자꾸 낙방해서 ’ ∙∙∙ 20 대보다 1.6 배 상승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취업준비생의 절반 이상이 처음 목표했던 분야를 여러 번 바꾼 ‘ 메뚜기형 구직자 ’ 인 것으로 나타났다 .
취업검색엔진 잡서치 ( 대표 최인녕 www.job.co.kr) 가 취업전문포털 파인드잡 (www.findjob.co.kr) 과 공동으로 20 대에서 30 대까지 취업준비생 1,155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2.4% 가 처음 취업을 목표했던 분야를 유지하지 못하고 방향을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 .
나이대별로 보면 ‘30~34 세 이하 ’ 집단에서 메뚜기형 구직자가 10 명 중 6 명 (60%) 으로 가장 많았고 , ‘25 세 ~29 세 이하 ’(57.4%), ‘35 세 ~39 세 이하 ’(56,8%), ‘24 세 이하 ’(47.8%) 순이었다 .
남자가 51.9%, 여자가 52.7% 로 여성의 메뚜기형 구직 비율이 약간 더 높았다 .
메뚜기 구직자 비율은 특히 2 년 전인 2013 년 동일 설문 시 응답률 (47.9%) 과 비교하면 4.5%p 더 증가한 수준으로 , 장기화되는 구직난 속에 다양한 분야를 기웃대며 취업 기회를 노리는 구직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방향을 바꾼 횟수는 ‘2 회 ’ 가 33.5% 로 가장 많은 가운데 , ‘1 회 ’(29.8%), ‘3 회 ’(22.3%) 순으로 이어졌고 , ‘5 회 이상 ’ 변경했다는 응답자도 11.3% 에 이르렀다 .
전체 비율로 보면 ‘2 회 이상 ’ 이 70.2% 에 이르러 메뚜기형 구직자 10 명 중 7 명은 2 회 이상 방향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고 , 특히 5 회 이상 방향을 바꿨다는 응답자는 2013 년 (8%) 보다 3.3%p 증가한 점이 눈길을 끈다 .
방향을 바꾼 이유는 ‘ 목표가 뚜렷하지 않아서 ’ 가 38% 로 1 위에 올라 처음부터 명확한 진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상당했고 , ‘ 실제 업무가 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르다고 해서 ’ 방향을 바꾸게 된다는 응답도 18.2% 에 이르렀다 .
이어 ‘ 경쟁이 치열해서 ’ 가 14.4% 로 3 위에 올라 취업난 속 치열한 눈치 전쟁과 함께 이곳 저곳을 기웃대는 메뚜기 구직족이 양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 ‘ 자꾸 낙방해서 ’(14%) 가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이었다 . 기타 응답으로는 ‘ 전망이 별로 없다고 해서 ’(11.2%), ‘ 싫증이 나서 ’(3.3%) 등이 있었다 .
나이대별로 보면 24 세 이하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 (48.6%) 가 ‘ 목표가 뚜렷하지 않아서 ’ 를 1 위로 꼽아 구직을 시작하는 어린 나이 때부터 진로에 대한 확신이 뚜렷하지 않은 점이 문제점으로 드러났고 , 30 대 이상에서는 ‘ 자꾸 낙방해서 ’ 라는 응답 (21.1%) 이 20 대 (13.3%) 에 비해 1.6 배 더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