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방세 납부 카카오페이·앱카드로 간편결제 가능

223

서울 지방세 납부 카카오페이 · 앱카드로 간편결제 가능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서울에 사는 A 씨는 지방세를 스마트폰으로도 납부할 수 있는 서울시 세금납부 (STAX) 앱을 내려받고 전자고지서 받기와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해뒀다 . 자동차세 납부기간이라는 알림 메세지를 보고 스마트폰으로 전자고지서를 확인한 후 카카오페이로 납부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20 초가 채 되지 않았다 .

서울시가 재산세 , 자동차세 , 주민세 등 모든 지방세와 세외수입고지 , 상하수도요금을 카카오페이와 신용카드 앱카드로 납부하는 ‘ 스마트폰 간편 세금납부 ’ 시스템 개발을 완료 , 3 개월 간 (8 월 ~11 월 ) 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12 월 자동차세분부터 본격 서비스를 시작한다 .

아울러 , 스마트폰에서 이메일 고지서를 확인하고 서울시 세금납부 (STAX) 앱에서 바로 납부까지 할 수 있는 ‘ 스마트폰 전자고지 ’ 서비스도 시작한다 .

핀테크 기반 (Fin Tech, 금융 +IT 융합 ) 모바일 간편결제시스템을 공공기관에서 도입하는 것은 전국 최초다 .

‘ 스마트폰 간편 세금납부 ’ 는 서울시 세금납부 (STAX) 앱에서 ▲ 카카오의 ‘ 카카오페이 ’ ▲ 6 개 신용카드사 ( 신한 · 삼성 · 현대 · 롯데 · 국민 · 농협 ) 의 앱카드 ▲ 우리은행의 위비뱅크로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다 . 서울시 ETAX 홈페이지 (etax.seoul.go.kr) 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

카카오톡 내 카카오페이 클릭 · 설치 또는 앱카드 다운로드 설치 후 → 사용 중인 카드 등록 → ETAX 또는 ‘ 서울시 세금납부 ’ 앱에서 결제

기존의 세금납부 방법인 계좌이체 (19 개 은행 ), 신용카드 (14 개 카드사 ) 에 이어 ‘ 간편결제 ’ 가 추가되는 것으로 , 결제할 때마다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거나 PC 에 액티브 X(Active X) 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결제가 가능한 점이 장점이다 .

서울시 지방세 전자고지는 ETAX 홈페이지 , 서울시 STAX 앱에서 공인인증서 로그인후 신청하거나 , 가까운 구청에서 신청할 수 있다 .

전자고지를 이용할 경우 납부 1 건당 500 원 상당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고 , 자동이체와 함께 이용하는 경우 500 원의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총 1,000 원의 혜택이 있다 .

아울러 , 기존 STAX 앱 부가서비스로 제공되는 ‘ 알리미 ’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인별 고지항목 , 납기마감일 , 수납결과 등을 실시간으로 안내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

‘ 서울시세금납부 (STAX)’ 앱을 로그인 할 때 동의를 받으면 자동설치되며 ,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 푸시알림수신 설정 ’( 앱설정 → 알림서비스 설정 ) 만 하면 이후 별도의 로그인 없이 알림메세지를 받을 수 있다 .

안드로이드폰인 경우 핸드폰 내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바로 회원가입과 전자고지 신청도 바로 가능하나 , 아이폰 또는 스마트폰에 공인인증서가 없는 경우 ETAX( 인터넷 ) 에 회원 가입 후 나의 ETAX 에서 ‘ 공인인증서 스마트폰 복사 ’ 로 공인인증서를 전송해야 한다 .

한편 , 정식 서비스에 앞서 3 개월 간 (8.24~11 월 ) 시범운영 결과를 보면 , 간편결제 이용건수는 총 5,100 여 건으로 연령별로는 30~40 대가 전체 72.8%, 금액별로는 5 만 원 이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김윤규 서울시 세무과장은 “ 카카오페이 , 앱카드 등 핀테크 기반 모바일 결제 방식을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도입해 지방세 납부가 보다 간편해지고 건전한 세수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며 “ 스마트폰 이용이 대세로 자리한 만큼 지방세와 관련해 스마트폰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계속해서 고민하고 발전시켜나가겠다 ”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