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한국판 미네소타 프로젝트” 추진


한국형 공적원조 (ODA) 프로젝트가 아프리카에서 본격 펼쳐진다 .

보건복지부 ( 장관 정진엽 ) 는 지난 26 일 박근혜 대통령의 에티오피아 순방을 계기로 양국 간 보건의료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에티오피아 심장수술 역량강화 양해각서 등 총 4 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와 에티오피아 보건부 간에 체결한 보건의료 분야 협력 양해각서에는 의료인력 초청 연수 및 현지 훈련 , 감염병 예방 및 진단 , 건강보험분야 경험 공유 및 자문 , 원격의료 및 병원정보시스템 협력 등 보건의료 분야 포괄적 협력이 포함돼 있다 .

이번 협약으로 경제성장과 인구증가에 따른 에티오피아의 보건의료 수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 국내 보건의료의 아프리카 현지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

또한 ,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은 에티오피아 세인트 폴 병원 (St. Paul’s Hospital Millennium Medical College) 과 에티오피아 심장수술 역량 강화를 위한 3 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에티오피아 국립병원인 세인트 폴 병원의 심장센터 신축과 연계하여 인력 연수 , 임상훈련 , 공동수술 등 심장전문의 양성과 심장수술 관련 한국의 지식전수를 통해 에티오피아 심장질환 치료역량 강화 및 에티오피아 환자의 국내 유치 가능성을 제고하게 된다 .
현재 에티오피아에는 심장수술을 할 수 있는 전문의가 거의 없어 매년 4 만 3 천여 명의 환자가 심장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 연간 3 백여 명이 인도 등 해외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

이와 함께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에티오피아 의약품 기금 및 공급청 (PFSA, Pharmaceutical Fund and Supply Agency) 도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 , 현지 필수 의약품 정보 공유 , 공동 세미나 개최 , 연수 프로그램 등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

또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과 에티오피아 건강보험청간 국민건강보험 협력을 위한 4 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보건복지부는 또 에티오피아 노동사회부와 사회복지 분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 , 사회복지 관련 인력 단기 초청연수 , 전문가 자문 , 국내 외 컨퍼런스 개최키로 했다 . 이에 따라 빈곤 퇴치와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이 시급한 아프리카 대륙에 ‘ 한국형 복지모델 ’ 을 전수하여 관련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해외진출 및 장기적 협력 관계 구축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MOU 는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국가와 체결하는 최초의 사회복지 국제협력 MOU 라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깊다 .

한편 , 미네소타 프로젝트는 1955 년부터 1961 년까지 미국 국무부 의뢰를 받은 미네소타대가 서울의대 함께 시행했던 보건의료 지식 전수 교육 프로그램으로 미국이 수행했던 교육 원조 중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
이 프로젝트에 따라 서울대 의대 교직원 77 명이 짧게는 4 개월 , 길게는 4 년간 미네소타대에서 연수를 했다 . 미네소타대 교수 114 명이 서울대에 자문관으로 파견돼 가르쳤다 . 이 기간 동안 미국에 갔던 한국인 77 명 가운데 개인 사정이 있었던 4 명을 제외한 73 명이 귀국해 후진을 양성했다 . 같은 시기에 미국에 파견돼 교육을 받았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인력 대부분이 현지에 정착한 것과 대조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