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의 ‘무녀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세계에 선보이다

213

김동리의 ‘ 무녀도 ’,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세계에 선보이다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가 제작 중인 애니메이션 무녀도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로 안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의 WIP 프로그램에 선정
감독의 의도 등 다방면에 걸쳐 세계 애니메이션 관계자들 앞에서 심도 있는 소개

2 월 , 안재훈 감독 (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 ) 이 한국 단편문학을 애니메이션으로 연출한 ‘ 무녀도 ’ 가 세계 최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인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WIP 에 선정되었다 .

WIP 는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의 매우 중요한 섹션으로 제작중인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전세계 애니메이션 산업 관계자들과 관객들 앞에서 소개하는 자리이다 .

그동안 안시의 WIP(Work In Progress) 에 선정되어 소개된 작품으로는 찰리 브라운과 스누피로 잘 알려진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의 <The Peanuts Movie> 와 < 늑대아이 > 감독 호소다 마모루의 최신작 < 괴물의 아이 > 가 있다 .

안재훈 감독은 2014 년 < 메밀꽃 , 운수 좋은 날 , 그리고 봄봄 > 을 시작으로 한국 단편문학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해석해 옮기고 있는데 , < 무녀도 > 는 그 두번째 작품이다 .

원작 ‘ 무녀도 ’ 는 김동리의 단편소설로 1982 년 노벨 문학상 후보에도 오른 수작이다 . 이런 시도만으로도 눈여겨봐야 할 < 무녀도 > 가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의 WIP 에 선정된 것은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더불어 안시의 WIP 에 선정된 한국 애니메이션은 < 무녀도 > 가 최초이다 .

◇ 한국 작품으로서는 최초 선정

WIP 는 현재 제작 진행 중인 극장용 애니메이션 작품의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감독과 프로듀서 등 제작 스탭이 무대에 올라 제작 과정 전반을 상세히 프리젠테이션 하게 된다 . 1 시간 15 분가량 소재의 발굴부터 제작 기법 , 작품 전체와 장면 연출에 대한 감독의 의도 등 다방면에 걸쳐 작품의 기술적 , 예술적 부분에 대해 심도 있게 소개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 아직까지 이런 과정을 거친 한국 애니메이션이 없었다는 점에서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와 안재훈 감독 , ‘ 무녀도 ’ 의 행보는 주목할 만한 큰 의미가 있다 .
◇ 파격적인 형식 , 국내 최초 창극 뮤지컬 애니메이션에 도전한 < 무녀도 >
애니메이션 < 무녀도 > 는 제작 기법 또한 독특하다 . 실제 무속인과 국악 뮤지컬 작곡가 , 안무 감독 , 무대 연출 , 뮤지컬 배우 등 각계의 전문가들의 참여해 국내 최초로 창극 뮤지컬 애니메이션에 도전했기 때문이다 . 강렬한 색채 , 가족 내 종교 갈등이라는 파격적인 주제 , 독특한 캐릭터 , 몽환적인 분위기 등을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 형상화한다 . 그 심상치 않은 존재감이 제작 과정에서부터 드러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