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끝 , 오지 히말라야의 그늘 아래 신을 숭배하고 , 종교적 믿음으로 환생을 기원하는 이들이 살아가는 곳이 있다 . 티베트인들은 인간이 살아가는 가장 높은 곳 , 신들의 언덕에서 가장 낮은 자세로 코나 ( 순례 ) 를 한다 . 신을 향한 기도와 고행은 숨이 멎을 것만 같은 고지대에서도 하염없이 오체투지 ( 삼보일배 ) 를 행하며 이어진다 .
티베트에서의 종교는 사원이나 사당에만 있지 않고 , 먹고 말하고 숨 쉬는 그 자체이며 내세를 위한 고행의 연속이다 . 티베트에서 불교는 종교가 아닌 삶이요 전생의 악업을 끊기 위한 속죄의 고행이며 , 내세의 유복한 환생을 위한 현세의 기도이고 신과 소통하는 유일한 길이다 .
티베트의 자연과 사람들
티베트의 대평원 라싸 초원을 가로지르며 만나는 티베트 유목민의 미소 속에서 보살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 순수하고 때 묻지 않은 평온의 미소는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경계와 호기심의 눈빛으로 다가선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 나무 한 그루 , 풀 한 포기 조차 쉽사리 허락지 않은 이 메마른 대지에 어떻게 저런 아름다운 미소가 생겼을까 , 이게 티베트 불교의 의미일지도 모른다 .
저 멀리 관광객들을 실은 열차가 내달리고 , 수천 년 전 모습 그대로의 삶을 지켜가며 살아가는 유목민들이 눈앞 전경으로 펼쳐진다 .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순간이다 . 함박웃음으로 가득한 아이들의 볼은 야크떼를 모느라 태양 빛 아래 그을려 붉게 상기되어 있고 , 수줍은 미소로 길 떠난 나그네를 향해 수유차 한잔을 내미는 유목민 여인의 갈라진 손등은 보는 이로 하여금 애잔함을 느끼게 한다 . 그 옆에선 그들의 가장이 하루 일과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음에 감사하고 내일의 안녕을 기원하며 조심스레 돌 한덩이를 쌓아 올린다 .
오염되지 않은 하늘과 공기 , 그 가운데 내려앉은 석양은 기암괴석의 절경을 이룬 대자연의 장대함과는 사뭇 다르다 . 끝없이 펼쳐진 지평선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저 대지의 여신 앞에 경외하듯 조아리게 된다 .
티베트의 광활한 초원은 흙탕물 웅덩이와 암석 골짜기 , 흙빛의 삭막한 대지가 이어지며 티베트인들의 삶만큼이나 고행의 땅으로 세워져 있다 . 이 초원에서도 오체투지를 하며 진흙탕 속에 몸을 던지고 돌부리에 몸이 상해도 아랑곳하지 않는 , 오직 그들의 신만을 위한 코나를 행하는 순례자들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
신께서 주신 오늘의 하루를 선물이라 여기고 주어진 것에 만족하며 , 가진 것 없는 가난한 삶일지라도 행복하다 말하는 사람들 , 매일 매일이 행복으로 충만하다 여기며 살아가는 이들이 바로 티베트인들이다 .
달라이 라마에게로 향하는 순례자들
티베트인들이 가장 신성시하는 곳 , 라싸의 상징물인 포탈라궁과 다자오사는 티베트 불교의 대표적 상징물이다 . 나지막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라싸 시가지 중심에 우뚝 솟아있는 포탈라궁은 하늘 아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며 신을 향해 끝없이 기원하는 중생들을 굽어보고 있다 .(1994 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
‘ 포탈라 ’ 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의 포탈라카 ( 보타락가 , 관음보살이 사는 산 ) 에서 유래되었다 . 7 세기 라싸 지방의 관음보살을 모신 ‘ 파쿠파 라칸 ’ 이 처음 건립되고 , 수십 수백 년의 기간 동안 계속 건축되면서 지금의 포탈라궁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 정면에서 바라본 포탈라궁의 위용과 아름다움은 고산지대 에메랄드빛 하늘과 함께 천상의 조화를 이루어 여행객들에게 벅찬 감동으로 다가선다 .
그러나 포탈라궁으로 향하는 높은 계단은 또 다른 고행의 시작이다 . 저지대에 비해 63% 밖에 되지 않는 라싸의 산소량은 가만히 서 있는 것만으로도 숨통이 조여오고 , 어지러운 고산증을 앓게 한다 . 그러나 이곳에서도 티베트인들의 내세를 향한 소원함과 염원은 멈출 줄을 모르고 신 앞에 몸을 던지듯 오체투지를 행한다 .
지금은 인도의 다람살라에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 14 세가 떠나면서 객들만이 드나드는 비운의 궁전이 되어버린 포탈라궁은 1,000 여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 그 중 여행객들에게 공개된 곳은 종교적 업무를 관장하던 훙궁 ( 붉은색 ) 과 달라이 라마의 생활공간과 행정 업무를 집행하던 바이궁 ( 백색 ) 으로 약 300 년간 티베트의 정치 , 종교의 중심지였다 .
또 하나의 상징인 다자오사 ( 죠캉사원 ) 는 7 세기 중반 토번의 왕 손첸 간포의 왕비에 의해 창건된 사원으로 티베트인들에게 가장 신성한 성지다 . ‘ 죠캉 ’ 은 ‘ 부처의 집 ’ 을 의미한다 . 특이하게 이 사원은 네팔과 인도의 건축양식을 따랐으며 , 일반적 사원의 방향인 남향이 아닌 서향으로 지어져 있다 . 이는 왕비의 고향인 네팔을 향하기 때문이라니 , 고향을 그리는 애절한 마음은 신을 섬기는 절대적 삶으로도 어찌할 수 없었나 보다 .
성소 ( 聖所 ), 카일라스산
순수함과 초자연의 신비가 살아 숨 쉬는 땅에 신이 살고 있는 성스러운 산이 있다 . 해발 6,714m 만년설의 신비로움을 안고 있는 카일라스는 ‘ 눈의 보석 ’, 산스크리트어로는 ‘ 신의 천당 ’ 이라는 의미이다 . 또한 불경에서는 우주의 중심으로 지칭된다 .
티베트에서 카일라스산은 수미산이라 불리며 티베트 불교 수행자들이 일생에 꼭 한번은 다녀와야 하는 곳이라 생각한다 . 만년설로 뒤덮인 카일라스산에 휘몰아치는 칼바람은 신의 존재를 증명이라도 하듯 경외롭다 . 대자연의 웅장함과 인간의 순수한 열정이 이 먼 곳 오지에 신이 살아 있는 산 , 카일라스산을 만든 것이다 .
카일라스산으로 향하는 길은 암석 골짜기가 수천 년 세월의 비바람에 깎이고 쪼개어져 언저리마다 수많은 작은 돌들과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 입산이 허락된 카일라스산 주변의 52 ㎞ 로 오체투지를 하며 순례하는 이들은 자신을 그 모래의 한 알갱이에 비유하며 한 걸음 한 걸음 신에게 다가간다 . 그리고 오방색 ( 타루쵸 ) 기를 달며 바람의 말 ( 룽따 ) 이 자신들의 바람을 신께 전해 주길 기도한다 .
흔히 소남 ( 영적 경지 ) 에 이르기 위해 무소유의 삶을 이야기한다 . 물질적 삶에 집착하지 않고 , 삶의 조건이나 불편함을 장애로 생각하지 않는 티베트인들의 삶이야말로 무소유에 대한 답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
가는 길
티베트로 가는 항공편은 인천공항에서 베이징 , 서안 , 청두 ( 쓰촨성 성도 ) 등으로 이동하여 라싸로 가는 항공편으로 환승하면 된다 . 베이징에서 라싸까지 3 시간 15 분이 소요되며 , 청두 ( 성도 ) 에서 라싸 ( 궁가 ) 까지는 1 시간 40 분이 걸린다 . 또한 , 티베트를 여행 시 환승지에 있는 티베트여유국 지사에서 티베트 입국 허가증을 받아야 한다 .
육로편으로는 베이징 , 상하이 , 청두 ( 성도 ) 등에서 칭짱열차를 이용하면 되지만 , 베이징에서 46 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탓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어느 정도 중국어가 구사되어야 가능하다 . 주의해야 할 사항은 라싸에서 달라이라마에 대해 이야기하지 말아야 하고 사진을 소지해서도 안 된다 . 절과 기도소 , 탑을 돌 때는 반듯이 시계방향으로 돌아야 한다 .
라싸 시내 교통편도 있으나 구시가지를 둘러볼 때는 걸어다녀도 충분하고 , 근처 세라사원 ( 세라 곰파 , 色拉寺 ) 나 드레풍사원으로 이동시에는 미니버스를 타면 된다 . 고산증세 완화를 위해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 같은 상비약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