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왕흥사지에서 국내 최고 ( 最古 ) 의 치미 출토
(미디어원=강정호 기자)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소장 배병선 ) 는 2013~2014 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소재 왕흥사지 ( 사적 제 427 호 ) 에 대한 발굴조사 때 출토됐던 백제 치미를 복원하여 3 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 . 치 미 ( 鴟尾 )는 동아시아 전통건축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지붕의 장식기와로 건물의 용마루 양 끝에 올려 건물의 위엄을 높이고 ,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하는 부재를 뜻한다.
부여 왕흥사지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지난 2000 년부터 총 15 차에 걸쳐 학술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유적으로 , 특히 2007 년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 ( 보물 제 1767 호 ) 가 나와 큰 주목을 받았던 절터이다 .
장식된 막새문양과 발굴된 다른 유물을 비교해 볼 때 이번에 공개되는 치미는 왕흥사지 창건 당시 (577 년경 ) 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 부소산 폐사지 치미 , 미륵사지 치미 등 현재까지 알려진 고대 치미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 , 백제 사비기의 기와 제작기술과 건축기술 , 건축양식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귀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출토된 치미는 전체를 한 몸으로 제작한 후 , 상 · 하로 나누어 가마에서 구워낸 것으로 추정된다 . 동쪽 승방터로 판단되는 건물지의 남북 양끝에서 각 1 점씩 출토되었는데 고대 건물지에서 용마루 좌우의 치미 1 벌 (2 점 ) 이 함께 출토된 사례는 처음이다 . 건물 지붕에서 떨어지면서 파손된 채 오랜 기간 땅에 묻혀있어 파편들도 많이 사라진 상태였다 .
이에 남쪽 치미는 상부만 , 북쪽 치미는 하부만 복원했으며 , 3 차원 입체영상 (3D) 기술을 활용해 상하부 전체를 복원한 이미지도 만들었다 . 이렇게 복원된 3D 영상 속 치미의 높이는 123 ㎝ , 최대너비 74 ㎝ 로 , 중국의 남조척 (1 자 =24.5 ㎝ 전후 ) 을 적용하면 5 자 정도 높이에 , 너비는 3 자에 해당된다 .
왕흥사지 치미는 마름모꼴의 꽃장식인 연화문 ( 蓮花紋 ), 구름문 , 초화문 ( 草花紋 ) 등의 문양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 전체적으로는 꼬리 부분을 하늘로 향해 날카롭게 표현하여 마치 새가 꼬리를 세워 비상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 여기서 단순할 수도 있는 지붕장식을 화려함과 위엄을 갖춘 예술품으로 승화시킨 백제 최고 수준의 장인 정신을 엿볼 수 있다 .
또한 , 사찰의 금당 혹은 강당 등 중요 건물에만 치미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알려진 사례와 달리 , 승려들이 사용하는 승방 건물에까지 치미가 쓰였다는 점은 당시 승려들의 높은 지위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도 주목된다 .
출토된 치미는 3 일 오후 1 시 30 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진행되는 ‘6 ∼ 7 세기 백제 · 신라 기와의 대외교류 ’ 학술대회에서 관계전문가들과 일반에 한 차례 공개되며 , 오는 29 일부터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 세계유산 백제 ’ 에 출품되어 전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