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중심 경제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한국관광공사도 관광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사업들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은 제조업보다 취업유발계수가 2배 이상 높다. 관광공사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일자리 중심 관광산업 육성 로드맵`을 작년 12월 말 마련했다. 또 `행복한 관광, 즐거운 일자리`라는 슬로건하에 2022년까지 민간 부문 관광일자리 총 1만5000개(누적인원)를 직접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관광공사의 일자리 창출 사업은 크게 △공공 일자리 △민간 일자리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등으로 나뉜다.
관광공사는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을 위해 작년 7월 마련한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근거해 상시·지속적 업무를 선정하고, 지난 연말 노사 합의와 전환심의위원회를 거쳐 해당 직무에 종사하는 기간제 근로자 2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또한 노사 및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간접고용(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 절차도 진행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O2O(Online to Offline)` 관광서비스 플랫폼 기업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와 일자리가 속속 출현하고 있다. 관광공사는 이 같은 미래형 관광 일자리의 지속 창출을 위해 ICT 기반의 관광 플랫폼 기업들과 일자리 중심 개방형 협업 체계를 구축해 관련 기업들의 역할 확대와 서비스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지원활동의 일환으로 작년 11월 관광공사가 개최했던 `2017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에 `미래형 일자리관`을 특별히 마련해 관광 플랫폼 기업 5곳(채용인원 115명)에 참여 기회를 제공했다.
이 밖에 작년 9월에는 공공기관 최초로 노사 대표가 공동위원장을 맡는 사내 일자리 컨트롤 타워인 `KTO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해 관광산업 분야에서의 다양한 민간 일자리 창출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관광공사는 정규직 전환자에 대한 합리적 처우 개선으로 차별 없는 일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선 1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에 대해 고용 형태와 직군에 관계없이 정규직과 동등한 복리후생비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 최초로 `노사·노노 상생협력 실천 협약`을 체결해 사내 복지시설(체력단련장, 셔틀버스, 휴게실, 체육시설 등) 이용에도 차별을 두지 않기로 합의했다. 특히 복지시설 공동 이용 합의는 공사, 노동조합, 기간제 노동자, 간접고용 노동자 등 4자 간의 상호신뢰와 협력하에 자발적으로 추진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함께 청년층, 경력단절여성, 신중년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시니어·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신(新)중년 호텔리어 양성 과정`이 대표적이다. `호텔은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늘어난 일자리를 채울 호텔리어가 부족하다`는 업계 고충을 반영한 사업으로, 올해 상반기 중 2회에 걸쳐 총 40명을 대상으로 취업 연계 지원을 통해 호텔업계 구인·구직 간 미스매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관광공사 관계자는 “신중년 호텔리어란 고객 유치를 위한 프런트오피스와 고객 만족을 위한 하우스키핑 능력, 외국어·서비스 매너까지 갖춘 멀티태스킹 전문 호텔 인재를 뜻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