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과잉, “채무 불이행으로 금융위기 올 수도” 미국경제학회 경고

385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적인 유동성 과잉으로 급증한 기업 부채 문제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정부 지원으로 연명해오던 좀비 기업을 시작으로 파산이 쏟아질 것이라는 경제 석학들의 경고가 나왔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의 ‘돈 풀기’의 부작용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또 다른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구조 조정을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도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라구람 라잔 시카고대 경제학과 교수는 ‘2021 전미경제학회(AEA) 연례 총회’ 둘째 날인 4일(현지 시간) “코로나19 위기로 당국은 제로 금리와 회사채 매입, 급여보호프로그램(PPP) 대출을 해줬고 기업들이 차입을 많이 했다”며 “하지만 지원은 어느 시점에 끝날 수밖에 없으며 앞으로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파산이 급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빈 킹 전 영국중앙은행(BOE) 총재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08년 금융 위기 때보다 높다”며 “기업과 국가 간 채무 불이행 증가로 금융 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 채무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말 320%였던 전 세계 총부채 비율은 코로나19에 지난해 말 365%로 45%포인트나 폭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금리 상황이라 부채를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과도한 부채는 항상 금융 위기로 끝났다고 보는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리가 오를 일이 결코 없다고 얘기하지 말라”며 “돈은 무한정 쓸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