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 도로교통공단(이사장 이주민)이 최근 5년간(2018~2022년)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결빙 교통사고*의 76%가 12월~1월에 집중되었으며, 결빙이 아닌 도로에 비해 결빙도로의 교통사고는 치사율**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결빙 교통사고 : 노면상태가 ‘서리/결빙’인 교통사고
** 치사율 : 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수
최근 5년간 결빙 교통사고는 4,609건으로 107명이 사망하고 7,72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치사율은 2.3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에서 결빙 시 치사율은 16.1로 결빙이 아닌 도로보다 3.4배 높았다. (결빙 외 고속도로 치사율 4.7)
위험 시간대는 결빙 교통사고 치사율이 8.8로 가장 높은 새벽 4시~6시, 사고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전체 결빙사고의 22.1%가 집중된 아침 8시~10시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은 결빙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가 얼기 쉬운 교량?고가차도와 터널?지하차도, 급커브구간에서는 특히 주의하며 서행 운전할 것을 당부했다.
TAA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단이 최근 5년간(2018~2022년) 사고를 대상으로 선정한 결빙 교통사고 다발지역** 56개소를 확인할 수 있다.
* 교통사고분석시스템 (URL: https://taas.koroad.or.kr)
** 반경 200m 내, 결빙 교통사고 3건 이상 발생지역(사망사고 포함 시 2건 이상)
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 황대곤 과장은 “급격한 기온 강하로 도로살얼음이 생긴 곳에서는 운전자가 사전에 위험을 인지하기 어렵다” 며 “기온이 낮을수록 교량, 터널, 지하차도 등 통행 시 주의를 기울이고 장시간 해가 들지 않는 새벽 시간에는 특별히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감속운전하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