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점 매출감소는 “프랜차이즈 보다 경기 침체”가 원인


제과점 매출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 대기업의 무분별한 점포 확장보다 경기침체 때문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
28 일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이 지난 10 일간 (11 일 ~20 일 ) 제과점 300 곳 ( 프랜차이즈 가맹점 150 개 , 독립점 150 개 ) 을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제과점 운영자들이 매출 감소의 원인을 공통적으로 경기침체로 꼽았다고 밝혔다 .
빵집 경영위기 요인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우 ‘ 매출 감소 ‘ 가 전체 응답의 29.3% 로 가장 많았다 . 다음으로 ‘ 맛 , 크기 등 제품의 일정한 수준 유지 (18.7%)’, ‘ 종업원 관리 (1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독립점 역시 ‘ 매출감소 ‘ 가 40% 로 가장 높았고 , ‘ 판매 수요 예측의 어려움 (16.7%)’, ‘ 맛 , 크기 등 제품의 일정한 수준 유지 (13.3%)’ 순으로 나타났다 .
매출감소 원인에는 가맹점 (42.7%) 과 독립점 (45.3%) 이 똑같이 ‘ 경기침체 ‘ 라는 답변을 가장 많이 했다 . 다만 독립점의 경우 ` 대형마트 · 편의점 제과점 증가 `(22.0%), ` 대기업 제과점 증가 `(15.3%) 등이 그 뒤를 이어대형마트 , 편의점 내의 제과점의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제과점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에 대해서는 가맹점과 독립점이 시각을 달리했다 . 중소기업 적합업종이 ‘ 시장의 자율성을 해친다 ‘ 라는 의견에 대해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동의 점수는 7 점 만점에 4.90 점 , 독립점은 3.46 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
또 ‘ 골목상권 보호에 도움이 된다 ’ 는 의견에는 가맹점주 4.18 점 , 독립점주 5.31 점으로 집계됐다 .
조사를 진행한 장재남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의 원장은 " 금번 조사 결과 매출 감소의 주원인이 프랜차이즈 때문이라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결과가 나왔다 " 며 " 정부는 최근 제과점 업계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양자의 대립구조로 볼 것이 아니라 세제 혜택과 자금 지원 등 독립제과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