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박예슬 기자] 오는 8 일은 1965 년 유네스코 선언에 의해 공포된 세계 문해의 날 (International Literacy Day) 이다 . 이날을 기념하여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는 국제사회의 문맹 퇴치와 성인 교육의 의미를 되새기는 각종 행사를 진행한다 .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해력이 낮은 백성을 위해 ‘ 인류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 ’ 이라는 과학적인 문자를 만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정신을 전 세계에 알리고 , 문맹 퇴치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장려하기 위해 1989 년 ‘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을 제정하여 , 1990 년부터 세계 문해의 날에 시상을 해 오고 있다 .
지난 20 여 년간 요르단 , 튀니지 , 에콰도르 , 중국 , 사우디아리비아 , 이집트 , 페루 , 필리핀 , 토고 , 인도네시아 , 르완다 등 전 세계 곳곳의 42 개 단체에 문맹 퇴치 공로로 세종대왕 문해상이 수여되었다 .
올해에는 인도의 인적자원개발부 소속 국립문맹퇴치국의 문맹 퇴치 운동인 ‘ 삭사르 바랏 미션 ( 글을 읽을 수 있는 인도 )’ 과 아프리카 차드공화국 구에라 (Guera) 지역의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이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단체로 선정되었다 .
인도의 삭사르 바랏 미션은 인도의 25 개 지역에 분포되어 26 개 언어로 제공되고 있으며 매년 1 천만 명이 이용하고 있다 . 특히 이 프로그램은 기본 교육 , 직업 교육 , 기능적 문해 , 여성 평등을 포함하고 있고 , 30% 에 이르는 인도의 문맹 퇴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두 번째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단체로는 아프리카 차드공화국 구에라 지역의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 이 프로그램은 구에라 언어의 발전과 표준화 , 문맹퇴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
특히 , 2012 년과 2013 년에 교육을 받은 교육생 6,577 명 중 여성이 5,356 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성들의 문해율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
한편 , 2009 년부터 시작된 수상 단체 초청 프로그램도 계속돼 이들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단체 관계자들을 다음 달 한국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다 .
코스모스팜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