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 측정장비 핵심부품 국산화율 90% 달성 목표

(미디어원=강정호 기자)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환경 오염물질 측정장비의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기 위한 사업단이 출범한다 .

환경부 ( 장관 윤성규 ) 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원장 김용주 ) 이 국내 환경측정기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16 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에서 ‘그린패트롤 측정기술개발사업단’ 출범식을 개최한다 .

이번 사업단은 그동안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환경계측장비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수출형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발족했다 .

그린패트롤 사업단은 수질과 대기의 오염 측정과 유해화학물질 측정 분야의 센서·계측기기·측정장비의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하고 있으며 , 이를 위해 2020 년까지 총 660 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그린패트롤 사업단을 통해 국내 환경계측장비 분야의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시켜 현재 2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산화율을 90% 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

구체적으로 온라인 총유기탄소 (TOC) 측정분석장치 , 복합유해물질 굴뚝자동측정기 , 초미세먼지 (PM2.5) 측정분석장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

이렇게 개발된 환경측정장비 핵심 기술은 굴뚝자동감시체계 , 수질원격감시체계 , 국가 수질자동측정망 등에 적극 활용될 예정이며 , 나아가 수출 사업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

그린패트롤 사업단을 운영하게 될 건국대학교 ( 사업단장 김조천 교수 ) 에서는 수질 , 대기측정 분야에서 2015 년 1 월 초까지 공모 절차를 걸쳐 , 당월 중순 신규과제를 수행할 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

김용주 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그린패트롤 사업단이 첨단 환경 파수꾼으로서 역할을 다해 국내 환경측정기기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한편 , 환경측정장비는 국가 환경측정망의 필수장비로서 환경오염물질의 확산을 조기에 대응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 첨단 핵심부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아 국내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

일례로 ,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첨단 환경정보시스템인 굴뚝자동감시체계 (CleanSYS) 의 온라인 자동측정기는 90% 가 외국에서 들여온 제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