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 2014 지역행복생활권 업무추진 유공 기관 표창
(미디어원=박예슬 기자)
부산시가 2 월 10 일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지역발전위원회가 주관하는 전국 행복생활권 담당공무원 워크숍 행사에서 ‘2014 년 지역행복생활권 업무추진 유공 기관 표창 ’ 을 받는다 .
지역행복생활권 업무추진 유공 표창은 정부 지역발전 정책의 핵심인 행복생활권 구현을 위해 지자체간 협력을 통해 새로운 지역가치 창출과 주민 중심 사업 발굴에 기여한 우수 기관 및 개인에 대해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수여하는 표창이다 .
부산시는 그간 생활권 내 주민체감형 ‘ 자체 공동사업 ’ 을 적극 추진한 결과 , 현재까지 발굴 · 시행 중인 13 건의 자체 공동협력 사업에 대해 지역발전위원회로부터 타시도의 모범사례로 그 성과를 인정받아 기관 표창을 받게 됐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 가야문화를 지자체간 공동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 · 운영해 관광 활성화 및 지역사회 공동번영을 도모하는 ‘ 허왕후 신행길 관광상품화 사업 ’ △ 부산 소재 화장시설 이용 시민과 생활권 지자체 주민들의 화장시설 이용 요금간 불형평성을 개선해 동일 요금을 부과하는 ‘ 부산 영락공원 화장시설 공동 활용 사업 ’ △ 부산시 상수원인 법기수원지 식수를 양산 동면 창기마을 118 가구에게 공급해 창기마을의 갈수기 식수 부족을 해결한 ‘ 법기수원지 상수원 공동 이용 사업 ’ 등이 있다 .
올해 2 월에는 가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이 없어 불편을 겪고 있는 김해시가 부산시 ‘ 생곡 생활폐기물 연료화 시설 ’ 에 김해시 가연성 폐기물을 반입해 처리할 예정이다 . 이 또한 자체 공동협력 사업의 성공사례로 , 김해시는 소각장 추가 건립으로 인한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주민들의 민원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
이 외에도 부산시는 부산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 지역의 대표성과 전문성을 가진 인사들을 위원으로 위촉해 ‘ 부산중추도시생활권 발전협의회 ’ 를 구성 , 행복생활권 발전계획 및 시 · 도 발전계획 보고 , 협의회 운영규정 의결 등을 통해 생활권 전반의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
아울러 협의체 실무지원을 위한 생활권 발전 전담조직 및 ‘ 행복생활권 연구센터 ’ 를 구성해 추진 가능한 주민체감형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는 점 등이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 부합한 우수 추진사항으로 인정받았다 . 시는 향후 ‘ 부산중추도시생활권 협력협의회 ’ 를 구성해 , 공동사업의 발굴과 집행 , 재원 분담 등 행정협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
부산시 관계자는 “ 앞으로도 ‘ 국민에게 행복을 , 지역에 희망을 ’ 정부 지역발전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2015 년 연계협력사업 및 주민밀착형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 지역의 상생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 고 전했다 .
한편 , 부산시는 지리적 근접성 , 지역 간 역사적 · 문화적 · 경제적 동질성 및 공공서비스를 공유하는 실질적인 생활권 ( 부산 – 김해 – 양산 – 울주 ) 을 지난해 1 월 구성해 지자체간 상생협력을 도모해왔다 .
또한 , 생활권 공동사업 발굴에 적극 노력해 2014 년 3 월 , 23 개 연계협력사업을 발굴했고 , 그 중 ‘ 철길마을 W-line 프로젝트 ( 부산 – 김해 – 양산 – 울주 )’ 와 ‘ 폐기물매립시설 공동이용 ( 김해 – 양산 )’ 사업 2 건이 2014 년 선도 사업에 선정 · 추진 중에 있다 .
2015 년에는 ‘ 낙동강 뱃길 복원 관광자원화 사업 ’, ‘ 의료관광 네트워크 구축 사업 ’, ‘ 친환경 로컬푸드 매장 설치 지원사업 ’, ‘ 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 사업 ’ 등의 연계협력사업을 적극 발굴 · 추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