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창업지원위해 ‘여성 전용 R&D’ 자금 신규 지원

중소기업청 ,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창업지원위해 ‘ 여성 전용 R&D’ 자금 신규 지원

(미디어원=박예슬 기자) 중소기업청 ( 청장 한정화 ) 과 여성가족부 ( 장관 김희정 ) 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와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해 ‘ 여성 전용 R&D’ 자금을 신규 지원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올해 시범사업으로 총 100 억원이 지원되며 ,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

‘ 여성 전용 R&D’ 자금추진배경

최근 여성의 활발한 경제활동 참여가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은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OECD 평균치보다 크게 낮은 수준인데 , 여성기업의 여성 고용률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10.6%p 높게 나타나는 등 여성기업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이에 따라 , 양 기관은 창의적 아이디어 및 기술역량을 보유한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 기술개발자 등 고급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해서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여성기업 육성과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그간 정부는 여성기업 육성과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

중기청은 여성의 창업과 여성기업 육성을 위해 매년 ‘ 여성기업 활동촉진 기본계획 ’ 을 수립 ,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다 .

구체적으로는 실전창업스쿨 , 여성전용창업보육센터 등을 통해 창업을 촉진하고 , 여성기업 제품 구매 의무화 , 해외진출 원스톱 지원 등으로 여성기업의 판로확대를 지원 중이다 . 또한 , 여성기업이 R&D 사업 참여 시 가점 (1 점 ) 을 부여하고 있다 .

여가부는 ‘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 이하 ‘ 새일센터 ’) 를 통해 임신 · 출산 · 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 직업훈련 , 인턴십 , 취업연계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을 하고 있다 .

또한 , 창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해 창업과정 직업훈련과 창업 전 인큐베이팅을 위한 창업동아리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

이에 따라 , 여성기업 비중과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 여전히 여성기업은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며 , 특히 가점만으로는 실질적인 R&D 참여 확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어 전용과제 신설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 여성 전용 R&D’ 사업 주요내용

이번 ‘ 여성 전용 R&D 사업 ’ 은 중기청이 R&D 자금 지원 및 사업 운영을 담당하고 , 여가부가 새일센터를 통해 여성의 창의적 아이디어 및 R&D 과제를 발굴하고 홍보를 지원한다 .

동 사업은 ① 여성기업 육성 측면에서 “ 여성기업 ” 과 , ② 여성의 고용창출 및 창업촉진 측면에서 “ 경력단절여성 신규고용 ( 예정 ) 중소기업 ” 및 ③ 창업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 또는 여성 과학기술인 (2 인 이상 )" 을 대상으로 한다 .

이들에게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 틈새시장 개척 , 新 성장동력 창출 등 새로운 기회창출이 가능한 R&D 과제에 대해 최대 1 년 간 1 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

특히 , 원활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기업이 원하는 경우 기술 · 사업화 멘토링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 여성 연구자 및 CEO 는 관련기관의 교육과정을 활용 ,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

평가 시에는 다른 R&D 과제와 달리 “ 여성의 경제활동 기회창출 가능성 ” 평가지표를 신설 , 개발기술 활용을 통해 여성이 겪는 사회문제 해결 또는 여성의 기회창출 가능성이 높은지를 평가한다 .

또한 , 최근 3 년 내에 정부 · 지자체 · 공공기관 등이 개최한 경진대회 수상경험이 있거나 이를 통해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

향후계획

신청기간은 2 월 23 일 ( 월 ) 부터 3 월 20 일 ( 금 ) 까지로 온라인 시스템 (www.smtech.go.kr) 을 통해서만 신청 받으며 ,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평가 (4~6 월 ) 절차를 거쳐 7 월 중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