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일 수도권공항의 엇갈린 행보, ‘날아가는’ 하네다, ‘뒷걸음’ 김포

하네다공항 전경

( 미디어원 =권호준 기자 ) 공항노선의 이원화 정책을 폐기한 일본의 하네다공항이 허브 공항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는 것과 달리 , 김포공항은 인천공항과의 노선 정책이 혼선을 빚으며 경쟁력이 약화되고 양국 공항의 행보가 엇갈리고 있다 .
지난 2010 년 일본 정부는 나리타 공항보다 도쿄 도심에 더 가까운 하네다 공항에 중장거리 국제선 취항을 허용했다 . 32 년만의 일이다 . 수도권 제 1 공항은 ‘ 국제선 ‘, 제 2 공항은 ‘ 국내선 ‘ 이란 지금까지의 원칙을 깬 것 .
국제공항협의회 (ACI) 에 따르면 2010 년 388 만 명이던 하네다공항의 국제선 승객은 지난해 791 만 명으로 배로 늘었다 . 국제선 승객이 대거 늘면서 2010 년 국내선 포함 세계 5 위였던 하네다공항 이용승객은 2012 년 4 위 (6679 만명 ) 로 순위가 상승했다 .

하네다 공항이 이렇게 성장세를 보일 수 있었던 것은 장거리 국제선 항공노선 개설이 유효했다 . 하네다공항이 취항하는 12 개국 19 개 도시 가운데 유럽 등 중장거리 15 개 노선은 최근 3 년 새 개설된 것이었다 .

항공 전문가들은 이러한 하네다 공항의 성장에 대해 “ 나리타공항 수요를 뺏은 것이 아니라 도심과 가까운 국내선을 자연스럽게 연계하고 , 24 시간 비행이 가능한 하네다공항의 특성을 이용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데 성공했다 ” 고 평가하고 있다 .

나리타 , 하네다 공항의 총 이용객 규모는 지난해 1 억 명을 넘었다 . 이러한 일본 수도권 공항의 연합 행보가 강화되면서 경쟁 관계에 놓여 있는 인천 – 김포공항에도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

국토교통부가 김포공항의 국제선 확대를 추진해 나간다는 뜻을 밝히긴 했으나 지자체 및 행정부처와의 갈등과 인프라 부족 등으로 문제 해결은 여전히 난망한 상황이다 . 인천공항 허브 경쟁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김포공항 국제선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나 , 인천공항 측은 노선 분산으로 허브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기로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

동북아 허브공항 입지를 고수하기 위해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원포트 (One-Port) 전략 하에 정부의 집중적이고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반면 김포공항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는 국민 편익도모를 위해 운항거리를 현행 2000 ㎞ 에서 3000 ㎞ 로 늘리고 저비용항공 (LCC) 의 운항편수를 늘리는 투포트 (Two-Port) 전략이 중심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각을 세우고 있다 .

이러한 논란이 지속되는 와중에 김포공항의 노선 경쟁력은 갈수록 뒤떨어지고 있다 . 현재 한 , 중 , 일 몇 개 노선을 운영 중이고 , 대부분 김포 ~ 제주 노선 등 국내선에 몰입하는 분위기다 . 그나마 지난해까지 산발적으로 운영되던 동남아 노선까지 모두 끊겼다 .

반면 하네다 공항의 경우 김포공항과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 지난 2 년 내 국제노선이 대거 증가해 , 현재 싱가포르 , 방콕 , 쿠알라룸푸르 등 동남아는 물론 , 하와이 , 시애틀 , 샌프란시스코 , 밴쿠버 , 파리 등 미주 , 유럽 노선까지 네트워크가 대거 확장된 상태다.
여기에 시내 접근성도 김포공항을 크게 압도하고 있다 . 김포공항의 경우 , 공항철도와 일반 지하철이 다니기는 하나 공항터미널까지 이동하는 데만 10~20 분 정도가 걸리고 , 국제선과 국내선을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상태다 . 공항 시설도 이렇다 할 볼거리와 휴식 공간이 현저히 부족하다 .
하지만 하네다공항의 경우 ‘ 게이큐선 ’ 과 ‘ 공항 전용 모노레일 ’ 을 이용하면 도심에서 15 분 정도면 공항에 닿을 수 있어 편리하다 . 또한 하차 후 모노레일 및 전철 플랫폼이 공항 바로 앞에 연결돼 있어 , 내리자마자 이동 없이 바로 항공기 탑승이 가능하다 . 국제선과 국내선도 모두 모노레일과 전철로 연결돼 있다 .

일본 전문 여행사 관계자는 “ 하네다 공항을 다시 찾을 때마다 격세지감을 느낀다 . 엄청나게 볼거리 즐길거리가 많아져 탑승객들이 지루해할 틈이 없다 . 김포공항을 보면 인바운드 폭증으로 충분한 발전 가능성이 있음에도 정부와 업계의 탁상공론으로 갈수록 낙후되고 있어 안타깝다 . 관계자들이 하네다 공항을 방문하고 큰 반성이 필요하다 ” 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