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승객, 출국심사와 짐 부치기 직접 해결한다.

국제선 승객, 출국심사와 짐 부치기 직접 해결한다.

인천국제공항, 사진제공 뉴시스
(아시아엔=편집국) 앞으로 인천국제공항에서 짐을 부치고 출국심사를 받느라 줄을 설 필요가 없게 된다. 또 국내 2157종 학술지 논문 정보를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자치부와 국무총리 소속 정부3.0추진위원회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정부3.0 공공기관 협의회’를 열고 116개 공공기관의 정부3.0 중점과제 185개를 선정·발표했다.
‘정부3.0’이란 부처기관간 ‘칸막이’를 제거해 맞춤형 대국민서비스를 구현하는 정부혁신전략을 뜻한다.
중점과제는 공공기관의 기능과 성격에 따라 ‘4개 유형·6개 분과’로 나뉜다.
‘대국민 서비스’ 유형 중점과제 56개 중 하나가 인천공항공사의 출국 전(全)과정 자동화’다.
국제선 승객이 항공사 직원을 거치지 않고 좌석 배정과 탑승권 발급, 짐까지 맡기게 된다. 출국심사도 얼굴과 지문인식으로 가능해 출국 대기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검사·검증 및 관리’ 유형은 총 23개다.
대표사례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선박안전 무선통신설비 운용 원스톱서비스’다. 이 서비스가 시행되면 어민들은 선박안전운항에 필요한 무선통신설비를 운용하기 위해 전파관리소·전파진흥원·수협어업정보통신국·해양경비안전서 등 5개 관공서를 일일이 찾아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정책지원 및 연구’ 유형에는 36개가 속한다. 국내 2157종 학술지의 논문 정보를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방식으로 제공해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자 정보 공동활용사업’이 대표적이다.
나머지 70개는 ‘산업 진흥·지원’ 유형이다. 소상공인 창업 정보를 성장단계·수준별로 제공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맞춤형 매칭서비스가 여기에 포함되며, 이는 오는 12월부터 시행된다.
정재근 차관은 "정부3.0의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국민 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범정부적 협의회 운영을 통해 국민 중심의 정부3.0 추진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협의회 전체회의를 연 4회 분기별로 개최키로 했다. 전체회의와 별도로 월 1회 기관 유형별 분과회의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