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음식기행] 식도락가의 예찬, 먹는게 남는거다. 스페인

사진:스페인 남부의 유명 관광지 '그라나다', 제공:스페인관광청

스페인은 유럽의 남서쪽 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해 서쪽으로는 포르투갈, 북쪽으로는 프랑스와 인접해 있다. 지중해와 대서양을 면하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한 나라이다.
스페인 사람들은 낙천적이고 사교적이며, 낭만적인 성향을 품고 있다. 그래서 일까, 삶을 즐기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고 정열을 쏟아낸다. 그 대표적인 4가지 상징물로 플라멩코, 투우, 축구, 축제가 있다. 특히,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 사람들은 사람들과의 교류나 유대관계에 있어 제일 사교적이고 친절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수세기에 걸쳐 그리스, 로마, 아랍세력의 외침과 지배의 영향으로 다양한 외부문화가 유입되면서 스페인만의 특별한 문화를 이루게 되었다. 그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이슬람 문화의 점령기가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약 800년 동안 이어지면서 다른 유럽과 달리 그 근저에 이슬람 문화가 깔려있는 것이 스페인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서 나온 특징들은 여러 분야에서 볼 수 있다. 그 중 스페인을 대표하는 음식문화에 있어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 속에 라틴과 아시아를 가진 나라, 스페인의 음식문화에 쫓아 여행을 떠나보려 한다.


# 1일 5식의 미식가들
스페인의 음식문화는 유럽의 장식적이고 화려한 거에 비해 소박하고 푸짐한 상차림으로 그들만의 특성을 자기고 있다. 하루의 시작을 음식으로 시작해 음식으로 마감하는 관습으로 인해 1일 5식, 하루 다섯 끼니를 먹는다하여 스페인 사람들을 세계의 미식가이자 대식가라고 말한다. 스페인은 매콤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고 후추와 마늘을 많이 이용한다.
그들의 아침 7시경이면 아침식사, 데사유노(Desayuno)로 올리브유를 바른 빵과 에스프레소 또는 츄러스와 핫초코, 토마토를 먹을 때는 마가린이나 치즈, 쨈을 발라 먹는다.
오전 11시경에는 간단한 간식시간, 메리엔다 메디아 마나냐(Merienda media manana)를 가지는데 샌드위치나 오믈렛을 먹는다. 때론 온세스(간식)를 먹기도 한다.
점심은 코미다(Comida)로 오후 한 시 반에서 세시사이에 대체로 먹는다. 점심을 잘 먹는 스페인 사람들의 식습관에 따라 전채에서 시작하여 주요리, 디저트, 커피로 이어지는 풀코스를 먹는다. 식사 전 술 한 잔을 가볍게 하시며 식사시간을 2~3시간가량 충분히 가진다.
식사 후, 시에스타(낮잠시간)를 가지기 때문에 스페인에서의 점심시간은 길다. 이 시간대에는 상점도 문을 열지 않는다. 그러나 요즘은 다른 나라들과의 경쟁력에서 뒤쳐진다하여 시에스타 풍습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저녁 무렵 먹는 메리엔다(Merienda)는 퇴근길, 술을 마시면서 또는 다른 음료와 함께 타파스를 먹는다. 타파스는 요리 방법과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주요리를 먹기 전에 작은 접시에 담겨져 나오는 소량의 전채요리를 말한다. 튀김이나 소시지, 치즈스틱, 바게트 위에 해산물과 야채 등 그 종류는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식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저녁식사인 세나(Cena)는 밤 10시가지나 가볍게 먹는다. 이렇듯 스페인 사람들에게 식사는 살기위해 먹는 게 아니라, 인생을 즐기는 방법으로 삶의 최대 행복이다.

사지니 스페인의 국민음식, '빠에야', 제공:스페인관광청
# 스페인의 다양한 문화가 가져온 전통음식
스페인은 지형과 기후, 역사로 인하여 다양한 농업이 발달하였고, 이에 식재료가 풍부한 나라이다. 각 주마다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대중 먹거리를 가지고 있다. 갈리시아 북부지역은 국물이 있는 삶은 요리, 북동부 카탈루냐 지방은 해산물 요리, 남동부 발레시아 지방은 쌀 요리, 중앙부인 카스티야 지방은 육류구이요리,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은 튀김요리가 그 특징이다.
스페인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제일 먼저 ‘빠에야’를 꼽을 수 있다.
쌀 요리인 빠에야는 에스파냐의 전통요리로서 여러 가지 해산물을 재료로 하는 볶음밥의 일종이다.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큰 프라이팬에 쌀과 고기, 해산물과 야채를 함께 넣어 볶은 것으로 에스파냐 동부의 발렌시아 지방에서 시작되었으나 지금은 어디서나 맛볼 수 있는 대표적인 요리가 되었다.
9세기 이후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이슬람교도들은 알부페 라호수의 얕은 여울이나 늪지대를 이용하여 벼농사를 지었다. 이들은 쌀과 물고기를 함께 끓인 요리를 알라신께 바치고 풍어와 풍작을 기원했다. 빠에야는 ‘신에게 봉헌하는 재물을 담는 쟁반’을 의미하는 라틴어 ‘Patella’에서 기원된 말이다. 이때부터 들녘의 농부들은 힘든 노동 후에 큰 냄비에 쌀과 고기, 야채를 함께 넣고 익힌 음식을 나눠 먹기 시작했고, 지금도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진: 하몽은 스페인의 대표적인 햄. 제공: Portal del Chadcidado. All right reserved
여기에 빠지지 않는 ‘샤프란’은 발렌시아 요리 ‘빠에야’의 3대 재료 중 하나로 독특한 향과 풍부한 황금색을 띤다. 이렇듯 빠에야는 쌀을 이용하고 샤프란 향신료를 음식에 첨가함으로써 아랍을 연상케 하는 음식으로, 그 문화적 배경을 느낄 수 있다.
육류 요리의 대표음식에는 ‘하몽’이 있다.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은 아랍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이다. 안달루시아 음식문화의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이슬람 지배를 떨쳐내기 위해 레콘키스타가 일어났고, 약 4C에 걸친 전쟁기간동안 장기간 먹을 수 있는 하몽 같은 돼지고기 요리가 발달하게 되었다.
하몽은 돼지 넓적다리를 통째로 염장한 후, 훈연하여 건조 숙성시킨 스페인의 대표적인 햄이다.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 돼지고기 살로 스페인인들의 식생활과 아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빵 사이에 넣어 간식으로 먹거나, 안주 그리고 타파스를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어 간단한 식사로도 애용되고 있다.

사진:스페인의 여름철 음식 '가스파초', 제공:Weheardfood.com, All right reserved

스페인의 건조하고 더운 여름철 음식으로는 ‘가스파초’가 있다. 가스파초는 토마토, 완두콩, 피망, 오이 등의 여러 가지 야채로 만든 시원한 수프이다. 여러 가지 야채를 잘게 썰거나 갈아서 올리브유와 식초를 섞어 만드는데 시원한 동치미나 야채주스 같은 느낌을 준다. 여기에 빵을 잘게 썰어 넣어 걸쭉하게 먹기도 한다. 우리의 김치와도 같이 스페인의 모든 음식에 빠지지 않는 것이 올리브가 있다.
남한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지역을 올리브 나무가 뒤덮고 있는 ‘올리브 천국’이다.
음식에 있어 올리브열매의 쓰임새는 다채롭다. 올리브유는 샐러드나 빵에 그대로 뿌려 먹기도 하고 볶음요리에 쓰이기도 한다. 또한 열매는 소금물에 절여 우리나라의 김치와 같이 식사 때 즐겨먹는 저장 음식이 되기도 한다. 올리브는 11월부터 1월 사이에 수확되어 대부분은 기름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소금물에 저장된다. 스페인 음식에 빠져서 안 되는, 음식의 다양함을 이룰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주인공이 올리브이다.

사진:스페인을 대표하는 와인 '카바', 사진제고이 Red Mago Travel, All right reserved
# 세계 3대 와인과 세계적인 칵테일

스페인은 와인에 있어서도 세계 3대 생산국 중 하나이다. 이탈리아나 프랑스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나 이는 생산된 와인이 모두 자국 내에서 소비되어 수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와인을 가리켜 비노(Vino)라고 한다. 리오하의 적포도주, 갈리시아의 백포도주, 나바라의 로즈와인이 유명하다. 우리에게는 카탈루냐 지방에서 생산되는 샴페인풍의 발포와인 카바(Cava)가 유명하다. 와인 외에도 칵테일 바에서 흔히 들을 수있는 샹그리아(Sangria)칵테일도 적포도주에 오렌지나 레몬과 같은 과일을 섞은 스페인 칵테일이다.

사진:스페인의 유명한 와인칵테일 '상그리아', 제공 Dustin Miller, All right reserved
음식에도 트렌드가 있다. 요즘 우리주변에서는 스페인 음식에 대한 관심과 호응이 대세를 이루어 일고 있다. 스페인 음식은 그 종류에 있어서 수백, 수천가지를 이루기에 몇 자의 글로 설명하기엔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 오늘 스페인 음식의 트렌드를 따라 새로운 문화에 대한 자극을 직접 받아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글: 박예슬 기자 사진: 스페인관광청 외 Credit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