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지자체가 일제 잔재를 관광자원화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
최근 일부 지자체들은 지역에 산재한 일제시대 적산가옥 ( 敵産家屋 . 광복후 일본인이 물러가고 남긴 집이나 건물 ) 과 일본인 거주지를 개발해 일본인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
경북도와 포항시는 동해안 테마관광지의 하나로 2018 년까지 포항 구룡포읍 항구에 위치한 과거 일본인 집단거주지를 보존 및 복원해 근대역사문화거리로 조성할 방침이다 .
도와 시는 이를 위해 작년 이 사업의 실시설계를 했으며 올해 26 억원을 투입해 일본인이 살던 적산가옥 10 채를 보수하고 홍보전시관을 착공할 예정이다 .
전북도와 군산시 역시 월명동과 영화동 등 군산 옛 도심의 적산가옥과 일본인 은행 , 창고 등의 잔재를 활용해 ‘ 근대문화유산 벨트화사업 ‘ 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
도와 시는 일본식 적산가옥 100 여채가 밀집한 지역에 탐방로와 경관로를 조성하고 일본식 건물의 외관을 갖춘 조선은행과 창고 등을 예술창작 벨트로 조성한다 .
이들 지자체는 " 구룡포와 군산은 각기 어업과 농업의 중심지로서 도심 곳곳에 일본풍 건물이 즐비했고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 며 " 지역을 찾는 일본인 등 외국인 관광객에게 이색 관광프로그램을 선사하고자 관광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 고 말했다 .
이와같은 지자체의 움직임에 일부 전문가들은 “ 역사가 주는 교훈이라는 측면에서 일제의 문화재를 보존하는 것은 납득이 가지만 세금을 들여 관광자원화 하겠다는 생각은 어불성설 ” 이라고 말한다 .
또한 이번 사안은 지자체가 단독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공청회 등에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공론화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