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문명에 대한 끊임없는 궁금증과 이해불능의 불가사의적 문화유산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것들에 대한 연구와 가설, 학술적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과학으로도 증명할 수 없는 고대의 많은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시대를 거스르듯 오늘날보다 더 발달된 문명을 세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명과 문화! 인간이 세월을 지나고 세대를 거치며 조금씩 축적되어 온 것일진데, 왜 수 천년이 지난 오늘에서도 그 비밀이 밝혀지지 않는 것일까.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의 삶이 후세 어느 날에선가는 또 다른 문명으로 남을 것이라 생각하며,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잃어버린 잉카문명의 도시 마츄픽츄(Machu Picchu)
1911년 7월 24일 , 높은 산정 온갖 수풀에 묻혀 잠자고 있던 ‘마츄픽츄’는 미국의 대학교수인 하이렘 빙엄에 의해 발견되어 잉카제국의 ‘잃어버린 도시’ 또는 ‘공중도시’로 불리우고 있다. 산과 절벽, 밀림에 가려져 산 아래 어디에서도 확인할 수 없는 이 도시는 오직 공중에서만 볼 수 있다하여 공주도시라는 별칭이 붙게 된다.
잉카제국의 마지막 수도였던 ‘뷜카밤바’를 찾고 있던 빙엄의 일행들은 뷜카밤바 계곡에서 야영을 하던 어느 날, 한 인디언이 깍아지른 듯 솟아있는 바위산 정상에 거대한 폐허가 있다고 알려준다. 이에 우루밤바강의 성난 급류가 하얀 거품을 뿜으며 누군가의 희생을 가용하고 있는 그곳을, 죽음보다 더한 두려움으로 올라 우거진 수풀 속에 숨어있는 마츄픽츄를 발견하게 되었다.
당시 정교한 석조 건축물로 이뤄진 마츄픽츄를 발굴하며 그들은 뷜카밤바라 여겼던 이 도시에서 몇 가지 수수께끼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도시에서 조금 떨어진 곳 무덤 속에서 발견된 앳된 여성들의 미이라. 발굴된 미이라들은 모두 여자들이였으며 남자들은 없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마츄픽츄는 선택된 여성만을 위한 ‘태양의 처녀’, 아크야(Aqllawasi)의 집단 거주지 였을지 모른다는 가설과 함께 남자들은 스페인 전장에서 모두 전사하고 여자들만 살다가 전염병(천연두)에 의해 사망했다고 추측을 해 보지만 둘 다 추정일뿐 확실한 내막은 알 길이 없다.
그로부터 백년의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 들어서면서 마츄픽츄가 뷜카밤바가 아니라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두되는 의문점은 마츄픽츄의 건축기술은 아주 뛰어나 원초적인 도구를 가지고 피난 간 잉카인들이 그런 정교한 돌집과 계단식 밭을 만들기엔 시간과 노동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적들에게 쫓겨 도망간 왕이 그러한 여유를 가지고 안정된 도시를 건설했다는 추측은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마츄픽츄, 하늘에서 내려놓은 듯한 이 도시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잉카문명의 상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세계 7대 불가사의의 이름으로
마츄픽츄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정교하고 수준 높은 건축 기술이다. 근처 바위산에서 캐온 커다란 돌을 다듬고 쌓아 올리는 솜씨가 감탄을 자아낸다.
고대 잉카제국의 건축 기술을 보면 그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고 한다. 마츄픽츄의 유적지 일부는 약 2000년 전이라는 학설도 있다. 그러나 원래 잉카문명은 11세기 말 페루 남부지역에서 발생되었다.
마츄픽츄의 건축양식과 기술로 추측하는 또 하나의 가설은 잉카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시조인 망코 카팍(Manco Capac)에 의해 건설 되었다고 한다. 이전까지는 잉카라는 말 대신 다른 이름의 문명으로 불리워진다. 잉카는 황제를 의미한다. 잉카제국의 군주를 사파 잉카(Sapa Inca)라 부르며 시작된 잉카문명은 초대 황제 망코 카팍에 의해 건설되었다.
망코 카팍은 당시 절대적 황제이며 최고의 건축가였다고 한다. 잉카 제국 초기에 건설된 건축물들에서 마츄픽츄와 유사한 점들이 많이 발견되고, 과학적으로도 매우 발달된 건축기술을 가지고 있어 현대인들에게도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마츄픽츄는 바위산이다. 고로 비가 많이 오면 땅으로 빗물이 흡수되지 않아 산 표면을 타고 강이 되어 흐른다. 이를 고려해 마츄픽츄는 처음부터 땅을 파고 바닥에 배수로를 만들고 그 위에 자갈을 채워 빗물이 잘 빠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과학적으로도 대단한 기술이다.
또한 물이 귀한 산 정상에서 사람들이 마시고 생활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수로를 도시 전체에 놓고 물이 흘러 모두가 공평히 나눌 수 있도록 했다.
종이 한 장도 들어갈 수 없을 만큼 정교하게 놓인 석조 구조물과 가파른 산비탈을 타고 만든 계단식 밭, 바위산 바닥을 파고 만든 자갈배수로 등은 우리로 하여금 잉카의 신비한 매력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잉카문명을 대변하는 마츄픽츄
카인들은 하늘과 가까이 살면서 ‘거짓말 하지 말고’ ‘도둑질 하지 말고’ ‘게으름 피우지 말 것’이란 3대 계명을 신조로 태양신을 섬겼다.
인티우아타나(Intihuatana)라는 해시계는 거석을 깎아 기둥모양으로 만들었는데 동지때 돌의 모서리를 잇는 대각선을 태양이 통과한다고 하여 보이지 않는 밧줄로 기둥과 태양을 묶어 천체의 살아짐을 막는 의식을 거행했던 곳이다.
그리고 태양의 신전(Templo Del Sol)은 쿠스코에 있는 태양신전과 같이 자연석 위에 벽을 쌓아 원형으로 만들어졌다. 안에는 자연석으로 된 1자형 홈이 파져 있어 하지 때는 떠오르는 태양광선과 일치한다.
이밖에도 콘도르 새의 형상, 대신전의세상을 천상, 지상, 지하로 나눠 3개의 창문, 황족의 미이라를 안치하고 제사를 지냈을 것이라 추측케 하는 능묘(La Tumba Real) 등이 있다.
잉카문명의 모습이 가장 완벽히 남아 있는 세계적 문화유산지 마츄픽츄는 발달된 고대 문명과 원시적 도구로 이뤘다고 믿기 힘든 석조 건축기술, 과학을 넘어선 인간의 지혜와 노력이 일궈낸 상징물이다. 시작과 끝이 만나는 하늘아래 도시. 마츄픽츄의 비밀이 어쩌면 이대로 영원히 남겨지길 바라는지도 모르겠다.
<여행 Tip – 마츄픽츄 가는길>
▶ 페루를 여행하면서 마츄픽츄는 빼놓을 수 없는 코스이다. 페루 기차를 타고 마츄픽츄를 가게 되는데, 쿠스코에서 기차를 타게 되면 비싸다. 그래서 배낭여행객들이나 장기 여행자들은 쿠스코 대신 오얀따이땀보 역에서 기차를 탄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마츄픽츄까지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