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알프스 지방의 향토음식’

(미디어원=허용선기자) ‘ 유럽의 지붕 ’ 이라고 불리는 스위스는 알프스 산맥이 국토의 약 60% 를 차지하는 나라다 . 신비스런 푸른 호수와 만년설로 덮인 높다란 산맥들이 곳곳에 자리한 나라로 , 자연의 아름다움이 잘 느껴진다 . 알프스 산속의 인기있는 휴양지인 인터라켄 (Interlaken) 은 아름다움과 자연의 위대함을 느껴지는 곳이다 .
스위스 최고의 관광지이자 알프스의 3 봉인 아이거 , 묀히 , 융프라우로 올라가는 길목이라 인터라켄은 많은 여행자들로 북적거리는 도시다 . 도시 자체는 그다지 크지 않아 2-3 시간이면 웬만한 곳을 다 걸어다닐 수 있다 . 특히 기차역 주위에는 호텔과 쇼핑센터 , 상점 , 식당들이 자리한다 .

아름다운 절경으로 이름난 융프라우 정상으로 가기 위해선 클라이네 샤이데크역에서 내려 톱니바퀴 등산열차 (BOB) 로 갈아타야 한다 . 등산열차로 갈아타는 이유는 정상으로 향하는 기찻길 경사가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일반 바퀴의 기차로는 미끄러져 사고가 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 융프라우요흐역 ( 驛 ) 은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기차역이다 .
해발 3571m 의 스핑크스 전망대로 가면 융프라우 주변의 대파노라마가 펼쳐진다 . 전망대에서는 360 도 각 방향으로 알프스 파노라마를 즐길 수 있다 .
스핑크스 테라스 전망대의 식당에선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는 두 말할 것도 없고 전통적인 스위스 음식도 맛볼 수 있어 좋다 . 스위스 요리라고 하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퐁듀 요리다 . 오래 전 만년설이 뒤덮인 알프스 산악지방은 겨울이 찾아오면 눈에 고립되는 마을이 많았다 .
이 시기에는 먹을 것을 구하기도 쉽지 않고 치즈나 빵 등도 오랫동안 보관한 탓에 딱딱해져서 먹기 쉽지 않았다 . 이 때 알프스 산에 살던 사람들은 따뜻한 봄이 오기를 기다리며 스위스 토속음식인 󰡐 퐁듀 (Fondue) 󰡑 를 만들어 먹었다 . 이처럼 퐁듀는 말라서 그냥 먹을 수는 없는 치즈를 녹여 딱딱한 빵 조각을 찍어서 먹었던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어렵던 시절을 회상시키는 음식이다 .

퐁듀 요리는 본래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요리였지만 지금은 거의 대부분의 스위스 도시에 퐁듀 전문점이 있다 . 퐁듀 요리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잘 알려진 것이 퐁듀 부르기뇬이다 .
퐁듀 쇼콜라는 달아서 어린이들이 좋아한다 . 퐁듀 프로마즈는 치즈 퐁듀를 가르키는데 스위스 에멘탈이라는 치즈를 사용해 만든다 . 스위스의 전통음식인 퐁듀는 냄비에 치즈와 와인을 넣어 부글부글 끊인 후 기다란 꼬챙이에 빵 조각을 꿰어 녹은 치즈에 찍어 먹는다 .
이때 치즈에 빵을 찍는 기술이 부족해 빵 조각을 냄비 안에 떨어뜨리면 벌을 받는 게임도 있다 . 여자가 떨어뜨리면 남자의 뺨에 키스를 , 남자가 떨어뜨리면 와인을 사야 된다 . 한 번도 빵을 떨어뜨리지 않은 이는 상을 받는데 , 냄비 바닥에 눌러 붙은 진국의 치즈 누룽지를 먹을 수 있는 특권이 주어진다 .

융프라우 산속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직접 만든 초콜렛을 먹어본 것은 색다른 즐거움이었다 . 추운 알프스 산악지대에서 맛 본 뜨거운 코코아 음료 역시 추위를 잊는데 그만이었다 . 카카오 향이 가득한 코코아는 조금 쓴맛을 가지고 있지만 카카오의 독특한 맛이 혀에 닿는 감촉은 몸의 피로를 푸는데 좋았다 .

원래 초콜릿의 원산지는 남부 아메리카이지만 현재의 고체 초콜릿의 종주국은 바로 스위스다 . 코코아는 신대륙에서 건너와 귀족들의 음료로 자리잡았다 . 코코아는 1875 년 스위스의 다니엘 피터가 우유를 첨가한 밀크초콜릿을 만들면서 지금의 납작한 판 모양의 고체 초콜릿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 이후 초콜렛은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 .

알프스 지방에선 퐁듀 외에도 라클렛 (Raclette) 요리가 인기있다 . 이것은 지름 40cm 정도 되는 커다란 치즈 덩어리를 반으로 자르고 가열한 후 녹은 부분만 떠내서 삶은 감자에 발라먹는 요리다 . 보통 오이피클이나 양파 같은 야채를 곁들여 먹는다 . 뢰슈티는 감자를 삶아서 껍질을 벗기고 작게 썬 것을 프라이팬에 양면으로 알맞게 구운 감자전이다 . 구운 소시지와 함께 먹으면 한결 맛이 좋다 . 베르너 플라트는 요리는 스위스의 대표적인 요리 중의 하나로 베이컨 , 햄 , 소시지 등과 삶은 쇠고기를 함께 담고 거기에 식초에 절인 양배추를 곁들여 먹는 요리다 .

구운 소시지를 넣은' 뢰슈티' 요리

스위스의 요리는 지역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 독일 · 프랑스 · 이탈리아 같은 주변 국가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은 특색있는 음식문화를 갖고 있다 . 취리히나 바젤 같은 독일어권 지역 은 소시지와 감자를 이용한 요리가 발달되어 있고 , 프랑스 문화권인 제네바는 송어에 식초나 향료를 넣고 삶은 요리인 오블뢰가 인기있다 . 스위스의 향토요리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포도주다 . 스위스에서 생산된 포도주와 함께 먹는 치즈의 맛은 일품이다 . 포도주 안주로 좋은 뷴트너프라이쉬는 1-2 년 동안 공기로 건조시킨 큰 쇠고기 덩어리를 얇게 썬 요리다 . 간식으로 먹는 누스타트라고 하는 과자는 설탕 , 호두 , 벌꿀을 사용해 만들며 에스프레소 커피와 함께 먹으면 한결 맛이 부드럽다 .
스위스에는 고급요리와 세심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일류 레스토랑에서부터 가벼운 마음으로 찾을 수 있는 저렴한 곳까지 다양한 형태의 레스토랑이 있다 . 고급 레스토랑은 일류 호텔안에 있는 것이 많으며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 치즈 전문점 , 요들송 등의 쇼를 볼 수 있는 레스토랑 , 길드하우스 , 성 ( 城 ) 등 유서깊은 건축물에서 식사는 잊지못할 추억거리를 제공한다 . 레스토랑의 영업 시간은 대개 11:30~14:00, 18:00~22:00 이며 , 역 주변의 간이 음식점에선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영업한다 . 미그로스 (Migros) 나 코프 (Coop) 같은 셀프 서비스 레스토랑에선 맛있는 요리를 저렴하게 먹을 수 있다 .
스위스에서 푸른 초원과 고산식물의 아름다움 , 설산의 웅장한 모습 등을 체험하는데 가장 좋은 곳 중에는 융프라우요흐 외에도 알프스 산중에 있는 그린델발트 , 벵엔 같은 아담한 도시를 손꼽는다 . 그린델발트 (Grindelwald) 는 해발 1034m 지점에 있는 알프스 산간마을로 , 관광성수기에는 수십만명이 오가지만 실제 거주 인구는 3600 명 정도이다 . 그린덴발트 시내에는 호텔과 스위스 전통가옥인 샬레가 도처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위에는 울창한 산림과 칼날 능선을 가진 아이거 산이 한 눈에 들어온다 . 흰눈으로 은세계를 이룬 인터라켄과 그린덴발트에서 다정한 사람과 보낸 황홀한 시간은 치즈 퐁듀의 새콤달콤한 맛처럼 농밀한 추억으로 지금까지 남아있다 .

스위스 ‘ 초콜릿 퐁뒤 ’ 만들기
‘ 초콜릿 퐁뒤 ’ 는 초콜릿을 크림과 함께 녹여 만든 부드러운 소스에 과일이나 과자를 찍어 먹는 음식이다 . 초콜릿은 끓기 시작하면 바로 타는 반면 식으면 금방 굳어버리기 때문에 적당히 잘 데워 주는 것이 중요하다 . 바닥이 두꺼워 은근히 끓일 수 있는 뚝배기 , 도자기 , 법랑 용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가스레인지의 약한 불을 사용하도록 한다 .

* 재료 (4 인분 기준 )= 밀크 초콜릿 ( 덩어리 또는 일반 초콜릿 ) 500g, 소금기가 없는 땅콩 , 호두 등의 견과류 100g, 생크림 100ml, 다양한 계절과일 ( 딸기 , 오렌지 , 참외 , 바나나 , 멜론 등 ), 쿠키 , 마시멜로 등

* 만드는 법 = ① 땅콩 호두 등의 견과류를 잘게 부순다 ② 준비된 초콜릿을 잘게 부순다 ③ 잘게 부순 견과류와 초콜릿을 뚝배기에 잘 섞어 담는다 ④ 약한 불에 초콜릿을 서서히 녹인다 ( 은근한 불의 세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 ) ⑤ 나무주걱 등으로 천천히 저으면서 녹이도록 한다 ⑥ 생크림 등을 첨가해 진한 맛의 초콜릿 소스를 완성한다 ⑦ 딸기 , 오렌지 , 바나나 등의 계절과일은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⑧ 꼬치 끝에 과일을 끼우고 초콜릿에 살짝 담가 먹는다

여행정보
일년 내내 관광하기 좋지만 봄과 여름 사이에는 아름다운 꽃이 핀 들판에서 하이킹을 즐길 수 있다 . 겨울에는 웅장한 설산도 보기 좋고 만년설에서 스키를 탈 수 있다 . 대한항공에서 취리히까지 직항 노선이 운행중이다 . 취리히에서 비행기나 열차로 인터라켄에 도착한다 . 화폐는 스위스 프랑이며 1 프랑 =850~900 원 선 . 시차는 우리나라보다 8 시간이 늦다 . 스위스에서 3 개월 이내 머무르는 경우 비자가 필요없다 . 기타 여행자료는 융프라우 철도 한국사무소인 동신항운 (02-756-7560) 에서 구할 수 있다 .

글 . 사진 허용선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