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수 없는 술 맛

'블루 트레인'에서 제공되는 칵테일 '블루 트레인'술의 종류는 수없이 많다 . 포장된 생김새나 맛도 제 각각이다 . 독한 술이 있고 순한 술도 있고 부드러운 술도 있다 .
그래서 은은한 향취에 호감을 갖게 되는 술도 있다 . 술의 향취는 술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어서 기호에 따라 즐겨 찾는 술이 있기 마련이다 .
맛 또한 종류나 품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 같은 주종이라도 장소와 분위기 또는 사람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술맛을 느끼는 흥취가 달라지기도 한다 .
시원한 에어컨 바람이 스쳐가는 쌀롱에서 정겨운 사람과 함께 드는 와인의 맛도 일품이고 , 땀을 많이 흘린 후 , 마시는 막걸리의 맛도 반하지 않을 사람이 없다 . 그렇지만 , 오랜 벗을 만나 함께 마시는 술 맛에 비할 수는 없다 .
어린 시절 , 동작이 민첩하지 못했었다 .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운동회에서 상을 타 본 기억이 없다 . 고등학교를 입학한지 며칠 후 , 개교기념일이었다 .
‘ 전교생 단축마라톤 대회 ’ 축제가 열렸다 . 달리기에 꼴찌만 하던 자괴감을 탈피하고 싶은 마음에서 선두그룹에 끼어들어 한참을 달렸다 .
이 단축마라톤 경기서 이름을 드날리던 삼 학년 학생과 선두로 나섰는데 , 간발의 차로 이등을 했다 . 그 후 공교롭게도 , 두 주일쯤 후 , ‘ 도민 체전 ’ 에 출전하여 우승을 했다 . 이어서 ‘ 군민 체육대회 ’ 에서는 ‘ 우승 컵 ’ 을 받기에 이르렀다 .
육상경기에서 우승 메달을 받기는 해도 ‘ 우승 컵 ’ 을 받는 예가 드물 뿐 아니라 처음 받은 것이라서 , 기념이 될 것 같아 , 지금껏 귀하게 여기면서 보관하고 있다 .
고향 마을 , 초등학교 운동장에서는 매년 ‘ 마을 친선 체육대회 ’ 를 개최한다 . 전년도에는 우리 마을이 종합 우승을 하여 트로피를 받아왔다 .
당시의 마을 이장이 트로피를 마을회관에 두지 않고 , 개인자택에 보관하고 있었는데 , 도회지로 이사를 하면서 이삿짐을 따라 트로피까지 도회지로 가고말았다 . 이 사실을 대회 당일에서야 알게 됐고 , 결국 시상할 트로피가 없는 가운데 시상식을 할 판이었다 .
트로피를 갑자기 제작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 긴급 방편으로 내가 받았던 ‘ 우승 컵 ’ 을 트로피 대신 시상식에서 수여하고 , 후일에 진품을 찾아오면 바꾸어서 돌려받기로 하였다 .

내가 군대에 입대를 하여 전 이장이 이사한 도회지 외곽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 도 대표선수로써 영외 운동장에서 훈련할 기회가 많았는데 , 운동장 가까운 곳에 살고 있는 그 분에게서 트로피를 받아올 수 있었다 .

한창 무더운 날 휴가를 받아 귀향하면서 내가 받았던 상품과 바꿔오기로 하였다 . 당시의 농촌 실정으로는 차도가 마을까지 이어지지 못했거니와 승용차나 택시를 이용하는 것은 상상도 못하던 가난한 시절이었다 .
무더운 여름철 , 한낮에 소매가 긴 군복 차림으로 꼬불꼬불한 먼 시골길을 걷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
공해가 적었던 그 시절의 농촌 햇살은 뜨거운 불볕으로 쏟아지고 있었다 . 나뭇잎은 따가운 햇살을 견디다 못해 아래로 늘어뜨리고 , 귀를 간질이던 매미소리 마저 간간이 흩어져 내리고 있었다 . 빗물처럼 흐르던 땀방울은 눈가로 스며들어 소매 깃으로 훔쳐내어도 시린 눈을 진정시키기는 쉽지 않았다 .
가까스로 마을 입구 근처로 들어서는데 , 아무도 보이지 않는 오솔길 안쪽에서 나를 부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 이웃마을 친구들이 새파랗게 웃자란 볏논에서 논을 매다가 땀에 젖은 내 모습을 저희들만 보고 불렀던 것이다 . 논 가운데서 일하다가 나오기도 어려운 처지이라 , 그 자리에 서서 얘기하면서 손이 시리도록 차가운 개울물에 담가두었던 막걸리를 먹으라고 권하지 않는가 .
텁텁한 막걸리 한 사발로 마르다 못해 타들어 가는 목을 시원하게 적시는 컬컬한 그 탁배기 맛은 말로서 다 표현할 수 없는 황홀한 지경이었다 . 달콤하거나 구수하지도 않고 텁텁한 맛에 혀끝을 쏘는 자극이 싫지 않으면서 , 마른 목을 지나 가슴까지 촉촉이 적셔주는 상쾌한 그 첫 맛을 어떻게 표현해야 좋을지 알맞은 말이 떠오르지 않았다 .
시원스런 그 감각이 발끝까지 저려오는 전율에 빠져들었다 . 잊을 수 없었던 첫 잔의 미각이 각인되어 세월이 흘러가도 여운은 남아 있었다 .
우승 컵을 처음 받던 날 , 군 체육회가 지도자들에게 베푸는 만찬에 어린 나이로 참석하여 , 그 우승 컵에 술을 부어서 잔을 돌려마시던 그 술의 맛은 기억나지 않는데 , 이 날의 술맛은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
지금까지의 수많은 좌석에서 술잔을 들 때마다 그 향취를 찾아보았지만 그 때와 비교될만한 맛을 느낄 수 없어서 마음이 허탈해지곤 한다 . 오십년이 지난 지금까지 잊을 수 없는 향미에 마음을 앗겨 말로서 나타내려 해보지만 끝내 절묘하던 제 맛에 가름하는 표현이 떠오르지 않는다 .
백필기 용수문학회장, 건대외래교수 시인 수필가 그 때의 그 막걸리가 썩 좋은 술이어서 잊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당시의 환경과 분위기에 도취되어 , 감미로운 신비경에서 헤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

땀을 많이 흘려 목이 타들어가던 내 자신이 첫 잔의 감미로운 맛에 흠뻑 빠져들었던 탓일 게다 .
여간 목이 말라도 혼자는 술이 먹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지만 , 벗을 만나거나 손님을 접할 때 술을 찾는 것은 잊지 못할 그 때 첫잔의 참맛이 뇌리에 새겨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사람들은 진귀한 이 맛을 너무 즐기다가 혼미해져서 낭패하는 수가 허다하다 . 취기가 오르고 있음은 , 자신만은 느낄 수 있는 것이다 . 음주량이 과다하면 정신을 가다듬지 못하여 실수로 이어지는 법이다 . 주량은 ‘ 적당할 때 자제할 수 있을 때 ’ 까지가 주량인 것이다 .
스스로 자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품격을 갖춘 인간으로 대접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심신을 통제하지 못하는 술 버릇은 , 타인들에게 상종하기 싫은 사람으로 인식되고 말 것이다 . 선택은 자신의 몫이다 .
사람의 마음이란 꼭 좋은 것이 제공되어야 감명 받는 것은 아니다 . 하찮은 것이라도 환경이나 분위기에 맞아 자신의 감정과 동화되면 반겨지는 것이다 . 맛인들 분위기에 따라 느끼는 감정이 달라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의미 있게 마련한 주안에 정이 담겨 있어야 맛이 우러나는 법이다 . 갈증이 나면 , 시원한 술 한잔 생각에 그 맛과 기쁨은 배가되는 것이다 .
운치가 있는 자연에서 , 정 깊은 벗들과 함께 권커니 잣거니 술잔을 기울일 수 있다면 , 그 옛날의 그 맛을 다시 느낄 수 있을지 , 알 수 없는 일이다 .

▶ 백필기는 : ▸ 수필 , 시조 , 시 , 평론가 , 용수문학 회장

▸ 시와 수필사 운영위원 , 한국문학세상 심사위원

▸ 해동문학 편집위원 , 건국대학교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