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구윤정 기자) 현재 직장생활 및 자영업을 운영 중인 성인 남녀 10 명 중 4 명은 자신의 노후를 암담하게 그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이는 취업포털 잡코리아 (www.jobkorea.co.kr) 가 최근 남녀 직장인 1,636 명과 자영업자 ( 프리랜서 포함 ) 242 명을 대상으로 ‘ 노후 준비 정도 ’ 에 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밝혀진 사실이다 .
직장인들과 자영업자들은 지금 한창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자신의 노후를 떠올렸을 때 ‘ 암담하고 불안한 기분이 든다 ’ 고 답한 이들이 46.8% 에 달했다 . ‘ 희망적이고 긍정적이다 ’ 고 답한 이들은 전체 12.9% 에 불과했고 , 나머지 39.9% 는 ‘ 아직은 잘 모르겠다 ’ 고 답했다 .
노후에 대한 불안감 정도는 자영업자들에게서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 현재 자영업을 운영 중인 이들 중 49.2% 가 노후를 불안하고 암담하게 내다봤고 , 직장인들 중에는 이보다 조금 적은 46.4% 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
자신의 노후를 떠올렸을 때 이처럼 암담하고 불안하게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 이유는 지금 당장 노후대비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실제 , 노후 대비 정도는 어떠한지 질문에 자영업자 85.1%, 직장인 80.9% 가 ‘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 고 답했다 .
한편 , 자영업자 및 직장인들이 노후 생활에서 가장 걱정하는 부분 (* 복수응답 ) 은 ‘ 돈 ’ 이었다 . 무려 86.8% 의 응답률로 ▲ 경제력에 대한 걱정이 1 위를 차지했고 , 다음으로 ▲ 건강 (54.7%) ▲ 사회적 고립감 (11.3%) ▲ 외로움 (9.7%) ▲ 무료함 (7.2%) 순으로 걱정이 되는 항목을 꼽았다 .
그렇다면 노년을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얼마의 금액이 필요할까 ?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 매월 평균 2 백 7 만 9 천 원 정도가 있어야 노년을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집계됐다 .
하지만 노년을 위한 경제적 준비 (* 복수응답 ) 를 ‘ 국민연금 ’ 에 의존한다는 답변이 응답률 57.8% 로 가장 많았고 , ▲ 적금 및 저축을 들고 있다는 의견은 응답률 37.1% 로 나타났다 .
반면 ,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 준비를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도 31.8% 로 꽤 많았다 .
이런 현실 때문인지 현재 내가 준비하는 노후대비 자금은 ‘ 부족한 편이다 ’ 고 답한 이들이 전체 86.0% 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 ‘ 충분한 편이다 ’ 고 답한 이들은 3.4% 로 매우 적었다 .
그렇다면 직장인들 및 자영업자들이 자신의 노후를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는 이유 (* 복수응답 ) 는 무엇일까 ? 이를 알아보기 위해 ‘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 무엇인가 ?’ 질문한 결과 , ▲ 소득 자체가 적다는 의견이 응답률 72.7% 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 이어서 ▲ 높은 물가 때문에 (39.1%) ▲ 전세 및 집구매 담보 대출 상환 때문에 (34.4%) ▲ 자녀 교육비 때문에 (28.6%) ▲ 현재를 즐기고 싶은 마음에 여행 및 쇼핑 등 지출이 많기 때문에 (21.3%) ▲ 부모님 부양 때문에 (13.9%) 등의 이유로 노후준비 자금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